제 1절 총칙

국내 항공안전법의 기본이 되는 국제법은?

① 동경협약
② 미국의 연방항공규정
③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부속서
④ 국제항공업무통과협정
Click the card to flip 👆
1 / 106
Terms in this set (106)
다음 중 항공기의 범위에 속하는 기기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 ① 최대이륙중량이 580킬로그램인 동력비행장치 ② 최대 실속속도가 40노트인 비행장치 ③ 단발 왕복발동기를 장착한 비행장치 ④ 비행 중에 프로펠러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비행장치비행 중에 프로펠러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비행장치항공기의 범위에 포함되는 비행기의 최대이륙 중량은? ① 400킬로그램을 초과할 것 ② 500킬로그래믈 초과할 것 ③ 600킬로그램을 초과할 것 ④ 700킬로그램을 초과할 것600킬로그램을 초과할 것다음 중 항공업무에 속하는 것은? ① 항공교통관제 ② 국내항공운송사업의 경영 ③ 항공기의 조종연습 ④ 항공기의 정비 또는 수리, 개조항공교통관제다음 중 항공업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항공기에 탑승하여 행하는 항공기의 운항 ② 항공기에 탑승하여 행하는 항공기의 조종연습 ③ 항공교통관제, 운항관리 ④ 정비 또는 개조한 항공기에 대한 안전성 여부의 확인항공기에 탑승하여 행하는 항공기의 조종 연습항공안전법에서 규정하는 항공업무가 아닌 것은? ① 운항관리 ② 무선시설의 조작 ③ 항공기의 조종연습 ④ 무인항공기의 운항항공기의 조종연습다음 중 항공종사자라고 할 수 있는 자는? ①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을 받은 사람 ②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전문교육기관을 이수한 사람 ③ 국가기술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 ④ 항공회사에 근무하는 사람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을 받은 사람항공안전법이 규정하는 항공종사자라 함은? ① 항행안전시설의 보수업무에 종사하는 자 ② 항공안전법 제3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을 받은 자 ③ 항공기의 정비업무에 종사하는 자 ④ 항공기의 운항을 위하여 지상조업을 하는 자항공안전법 제3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을 받은 자다음 중 비행장이란? ①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하여 사용되는 육지 또는 수면 ②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활주로와 유도로 ③ 항공기를 계류시킬 수 있는 곳 ④ 항공기에 승객을 탑승시킬 수 있는 곳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하여 사용되는 육지 또는 수면항공기의 이륙 및 착륙을 위하여 사용되는 육지 또는 수면의 일정한 구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공항 ② 비행장 ③ 활주로 ④ 착륙대비행장다음 중 공항의 기본시설은? ① 공항 이용객 편의시설 ② 운항관리, 소방시설 ③ 공항 이용객 주차시설 ④ 항공기 급유 및 유류저장, 관리시설공항 이 용객 주차시설다음 공항시설 중 기본시설인 것은? ① 항공기 및 지상조업장비의 점검, 장비 등을 위한 시설 ② 상하수도시설 및 전력, 통신, 냉난방시설 ③ 항공기 급유 및 유류저장, 관리시설 ④ 이용객 홍보 및 안내시설이용객 홍보 및 안내시설다음 중 공항의 기본시설이 아닌 것은? ① 항행안전시설 ② 기상관측시설 ③ 항공기 급유 및 유류저장시설 ④ 이용객 홍보 및 안내시설항공기 급유 및 유류저장시설다음 중 공항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본시설이 아닌 것은? ①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② 소방시설 ③ 항행안전시설 ④ 기상관측시설소방시설다음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공항의 지원시설은? ① 이용객 홍보 및 안내시설 ②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등 여객시설 및 화물처리시설 ③ 항공기 및 지상조업장비의 점검, 정비 등을 위한 시설 ④ 관제소, 송수신소, 통신소 등의 통신시설항공기 및 지상조업장비의 점검, 정비 등을 위한 시설공항시설 중 지원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① 항공기 급유 및 유류저장, 관리시설 ② 기상관측 시설 ③ 공항이용객 주차시설 및 경비, 보안시설 ④ 이용객 홍보 및 안내시설항공기 급유 및 유류저장, 관리시설대통령령이 정하는 공항시설 중 지원시설이 아닌 것은? ① 공항이용객 편의시설 및 공항근무자 후생복지시설 ② 항공기 및 지상조업장비의 점검 정비 등을 위한 시설 ③ 여객 터미널, 화물터미널 등 여객 및 화물처리시설 ④ 공항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항운영, 관리 시설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등 여객 및 화물처리시설다음 중 착륙대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해 설치된 장소 ② 특정한 방향을 향해 설치된 비행장 내의 일정구역 ③ 활주로와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는 경우 항공기와 탑승자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주로 주변에 설치하는 안전지대 ④ 활주로 양끝에서 각각 80m까지 연장한 길이와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지표면 또는 수면활주로와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는 경우 항공기와 탑승자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주로 주변에 설치하는 안전지대착륙대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활주로 주변에 설치하는 안전지대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지표면 또는 수면 ②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비행장 주변에 장애물의 설치 등이 제한되는 지표면 또는 수면 ③ 항공기의 이륙, 착륙을 위하여 사용되는 육지 또는 수면의 일정한 구역 ④ 특정방향으로 설치된 비행장 내의 안전구역활주로 주변에 설치하는 안전지대로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지표면 또는 수면다음 중 기장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해야할 항공기사고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사람의 사망, 중상 또는 행방불명 ② 엔진의 덮개나 부속품의 고장 ③ 항공기의 파손 또는 구조적 손상 ④ 항공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거나 항공기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엔진의 덮개나 부속품의 고장다음 중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항공기준사고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운항 중 엔진 화재 ② 조종사가 연료의 부족으로 비상선언을 한 경우 ③ 비행 중 엔진 덮개의 풀림이나 이탈 ④ 이륙 또는 초기 상승 중 규정된 성능에 도달 실패비행 중 엔진 덮개의 풀림이나 이탈다음 중 항공기준사고의 범위가 아닌 것은? ① 항공기의 중대한 구조상의 결함 ② 다른 항공기와 500ft 미만의 근접비행 ③ 비행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산소마스크 사용 ④ 이륙 또는 착륙 중 활주로 종단의 초과항공기의 중대한 구조상의 결함다음 중 항공기준사고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연료의 부족으로 인한 비상선언 ② 비상상황으로 인한 산소 마스크 사용시 ③ 이륙 중 활주로 옆으로 이탈한 경우 ④ 구조적으로 중대한 기체결함이 발생했을 시구조적으로 중대한 기체결함이 발생했을 시항공기준사고의 범위에 포함되는 근접비행이란? ① 비행 중 다른 항공기와의 거리가 1,000ft 미만까지 근접하여 충돌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조종사가 판단한 경우 ② 비행 중 다른 항공기와의 거리가 500ft 미만까지 근접하여 충돌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조종사가 판단한 경우 ③ 비행 중 다른 항공기와의 거리가 500ft 미만까지 근접하여 충돌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관제사가 판단한 경우 ④ 비행 중 다른 항공기와의 거리가 500ft 미만까지 근접하여 충돌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조종사와 관제사가 판단한 경우비행 중 다른 항공기와의 거리가 500ft 미만까지 근접하여 충돌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조종사가 판단한 경우다음 중 중상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부상을 입은 날부터 7일 이내에 48시간을 초과하는 입원치료를 요하는 부상 ② 심한 출혈, 신경, 근육 또는 힘줄의 손상 ③ 코뼈, 손가락, 발가락 등의 간단한 골절 ④ 내장의 손상코뼈, 손가락, 발가락 등의 간단한 골절다음 중 비행장에 설정하여야 하는 장애물 제한표면과 관계없는 것은? ① 수평표면 ② 전이표면 ③ 기초표면 ④ 진입표면기초표면다음 중 장애물 제한표면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수평표면 ② 원추표면 및 내부원추표면 ③ 진입표면 및 내부진입표면 ④ 전이표면 및 내부전이표면원추표면 및 내부원추표면장애물 제한표면 중 활주로 시단 또는 착륙대 끝의 앞에 있는 경사도를 갖는 표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진입표면 ② 원추표면 ③ 수평표면 ④ 전이표면진입표면수평표면의 원주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경사도를 갖는 장애물 제한표면은? ① 진입표면 ② 전이표면 ③ 원추표면 ④ 내부전이표면원추표면장애물 제한표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진입표면은 활주로 시단 또는 착륙대 끝의 앞에 있는 경사도를 갖는 표면을 말한다. ② 수평표면은 비행장 및 그 주변의 위쪽에 수평한 평면을 말한다. ③ 원추표면은 전이표면 사이의 시단 이후로 규정된 거리에서 연장되는 경사진 표면을 말한다. ④ 전이표면은 착륙대의 옆변 및 진입표면 옆변의 일부에서 수평표면에 연결되는 바깥쪽 위로 경사도를 갖는 복합된 표면을 말한다.원추표면은 전이표면 사이의 시단 이후로 규정된 거리에서 연장되는 경사진 표면을 말한다.계기접근 시진입표면 긴 외측변의 착륙대 긴 변의 연장선에 대한 경사도로 옳은 것은? ① 1/100 ② 10/100 ③ 15/100 ④ 20/10015/100진입표면의 수평길이의 범위는? ① 8,000m 이하 ② 10,000m 이하 ③ 12,000m 이하 ④ 15,000m 이하15,000m 이하진입표면이 지표면 또는 수면에 수직으로 투영된 구역의 길이는 얼마 이하인가? ① 2,500m 이하 ② 5,500m 이하 ③ 8,000m 이하 ④ 15,000m 이하15,000m 이하계기접근에 사용되는 비행장의 진입구역의 길이는? ① 3,000m ② 5,000m ③ 10,000m ④15,000m15,000m비계기접근 육상비행장의 진입구역의 길이는? ① 1,000m ② 3,000m ③ 5,000m ④ 7,000m3,000m계기접근과 비계기접근에 있어서 진입구역의 길이로 맞는 것은? ① 계기접근 : 10,000m, 비계기접근 : 3,000m ② 계기접근 : 15,000m, 비계기접근 : 4,000m ③ 계기접근 : 15,000m, 비계기접근 : 5,000m ④ 헬기장 진입구역의 길이는 1,000m로 한다.헬기장 진입구역의 길이는 1,000m로 한다.각 활주로 중심선의 끝 높이 중 가장 높은 점을 기준으로 한 수평표면의 수직상방 높이는? ① 45m ② 50m ③ 55m ④ 60m45m착륙대의 등급이 A인 육상비행장에 있어서 수평표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① 4,000m ② 3,500m ③ 3,000m ④ 2,500m4,000mB등급 육상비행장의 수평표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① 3,000m ② 3,500m ③ 4,000m ④ 4,500m3,500m전이표면의 경사도는? ① 1/3 ② 1/5 ③ 1/7 ④ 1/101/7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유선통신, 무선통신, 인공위성, 불빛, 색체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 ② 유선통신, 무선통신, 인공위성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 ③ 야간이나 계기비행 기상상태에서 항공기의 이륙 또는 착륙을 돕기 위한 시설 ④ 야간이나 계기비행 기상상태에서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유선통신, 무선통신, 인공위성, 불빛, 색채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으로 돕기 위한 시설다음 중 항행안전시설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항공교통관제탑 ② 유선통신, 무선통신에 의해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 ③ 불빛에 의해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 ④ 색체에 의해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시설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항공교통관제탑다음 중 항행안전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항공등화 ② 항행안전무선시설 ③ 항공교통관제시설 ④ 항공정보통신시설항공교통관제시설공항시설법이 정하는 항행안전시설이 아닌 것은? ① 항행안전무선시설 ② 항공등화 ③ 항공정보통신시설 ④ 주간장앺표지시설주간장애표지시설다음 중 항행안전시설이 아닌 것은? ① NDB ② VOR ③ TACAN ④ GPSGPS다음 중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기 위한 항행안전시설은? ① 항행안전무선시설 ② 항공정보통신시설 ③ 항공관제통신시설 ④ 항공종합통신망항행안전무선시설다음 중에서 항행안전무선시설은? ① 자동종속감시시설 ② 단거리이동통신시설 ③ 단파이동통신시설 ④ 항공고정통신망자동종속감시시설다음 중 항행안전무선시설이 아닌 것은? ① 거리측정시설 ② 무지향표지시설 ③ 전방향표지시설 ④ 주간장애표지시설주간장애표지시설다음 중 항행안전무선시설이 아닌 것은? ① 무지향표지시설(NDB) ② 계기착륙시설(ILS) ③ 자동방향탐지시설(ADF) ④ 레이더시설(RADAR)자동방향탐지시설(ADF)다음 중 전파를 이용한 항행안전무선시설이 아닌 것은? ① 무지향표지시설(NDB) ② 자동종속감시시설(ADS) ③ 공항정보방송시설(ATIS) ④ 위성항법시설(GNSS)공항정보방송시설(ATIS)항행안전무선시설이 아닌 것은? ① NDB ② DME ③ ILS ④ ADFADF다음 중 항공등화가 아닌 것은? ① 비행장등대 ② 위험항공등대 ③ 진입각지시등 ④ 지향신호등위험항공등대불빛, 색체 또는 형상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는 항공등화가 아닌 것은? ① 비행장등대 ② 금지구역등 ③ 풍향등 ④ 항공장애등항공장애등항행중의 항공기에 비행장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 설치하는 등화는? ① 비행장식별등대 ② 비행장등대 ③ 보조비행장등대 ④ 신호항공등대비행장등대항행중인 항공기에 비행장의 위치를 알려주는 등화는? ① 비행장등대 ② 비행장식별등대 ③ 활주로등 ④ 지향신호등비행장등대항행 중인 항공기에 비행장의 위치를 얄려주기 위하여 모르스부호에 따라 명멸하는 등화는? ① 목표지점등 ② 비행장등대 ③ 비행장식별등대 ④ 활주로등비행장식별등대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그 진입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진입구역에 설치하는 등화는? ① 활주로등 ② 진입등시스템 ③ 유도로등 ④ 선회등진입등시스템이륙하거나 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활주로를 알려주기 위해 그 활주로 양측에 설치하는 등화는? ① 활주로유도등 ② 활주로등 ③ 활주로시단등 ④ 활주로시단식별등활주로등착륙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활주로 시단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활주로 시단의 양쪽에 설치하는 등화는? ① 활주로시단등 ② 활주로시단연장등 ③ 활주로시단식별등 ④ 접지구역등활주로시단식별등활주로의 진입경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진입로를 따라 집단으로 설치되는 등화는? ① 진입각지시등 ② 활주로등 ③ 활주로유도등 ④ 활주로시단등활주로유도등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 등에 필요한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등화는? ① 이륙목표등 ② 지향신호등 ③ 착륙방향지시등 ④ 유도로안내등지향신호등활주로중심선등은 활주로 종단으로부터 ( )m에서 900m 사이는 진입방향에서 보았을 때 ( )과 ( )등을 교대로 설치하여야 한다.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① 300, 적색, 가변백색 ② 100, 적색, 백색 ③ 300, 적색, 녹색 ④ 100, 적색, 가변백색300, 적색, 가변백색활주로시단등의 색상은? ① 적색 ② 녹색 ③ 청색 ④ 백색녹색유도로등(Taxiway Lights)의 색은? ① 청색 ② 녹색 ③ 황색 ④ 백색청색유도로중심선등과 유도로등의 색상은? ① 녹색, 녹색 ② 청색, 녹색 ③ 녹색, 청색 ④ 농색, 황색녹색, 청색관제권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②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하다고 지정한 지구의 표면상에 표시한 공간 ③ 비행장과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④ 비행장 이외의 지역으로 항공기 항행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비행장과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다음 중 관제구의 높이로 맞는 것은? ①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150m 이상 높이의 공역 ②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 ③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50m 이상 높이의 공역 ④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300m 이상 높이의 공역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하다고 지정한 지구의 표면상에 표시한 공간의 길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관제권 ② 관제구 ③ 항공로 ④ 공역항공로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비행장 또는 공항과 그 주변의 공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관제구 ② 관제권 ③ 항공로 ④ 관제공역관제권항공로는 누가 지정하는가? ① 대통령 ② 지방항공청장 ③ 국토교통부장관 ④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국토교통부장관다음 중 관제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하다고 지정한 지구의 표면상에 표시한 공간의 길 ②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③ 비행장 및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④ 항공교통량이 복잡한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다음 중 항공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하다고 지정한 지구의 표면상에 표시한 공간의 길 ②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③ 비행장 및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④ 항공기가 항행함에 있어서 시정 및 구름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의 항행에 적합하다고 지정한 지구의 표면상에 표시한 공간의 길다음 중 계기비행의 정의로 맞는 것은? ① 항공기의 자세, 고도, 위치 및 비행방향의 측정을 항공기에 장착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는 것 ② 항공기의 자세, 고도, 속도 및 비행방향의 측정을 항공기에 장착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는 것 ③ 항공기의 고도, 위치 및 비행방향의 측정을 항공기에 장착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는 것 ④ 항공기의 고도, 속도 및 비행방향의 측정을 항공기에 장착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는 것항공기의 자세, 고도, 위치 및 비행방향의 측정을 항공기에 장팍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는 것해발 3,050m(10,000ft) 이상의 B, C, D, E, F 및 G 등급 공역에서 양호한 시계비행 기상상태는? ① 비행시정 8,000m 이상이고 구름으로부터 수평으로 1,500m, 수직으로 300m 이상의 거리 ② 비행시정 5,000m 이상이고 구름으로부터 수평으로 1,500m, 수직으로 300m 이상의 거리 ③ 비행시정 8,000m 이상이고 지표면 육안식별 및 구름을 피할 수 있는 거리 ④ 비행시정 5,000m 이상이고 지표면 육안식별 및 구름을 피할 수 있는 거리비행시정 8,000m 이상이고 구름으로부터 수평으로 1,500m, 수직으로 300m 이상의 거리해바라 900m 이하의 F 및 G등급 공역에서 시계상의 양호한 기상상태인 최저비행시정은? ① 미적용 ② 8,000m ③ 5,000m ④ 3,000m5,000m해발 3,050m(10,000ft) 이상의 B등급 공역에서 양호한 시계비행 기상상태인 구름으로부터 거리는? ① 미적용 ② 구름을 피할 수 있는 거리 ③ 수평으로 1,500m, 수직으로 300m 이상 ④ 수평으로 1,000m, 수직으로 300m 이상수평으로 1,500m, 수직으로 300m 이상B, C, D, E, F, 및 G등급 공역의 해발 3,050m 미만에서 해발 900m 초과 고도로 시계비행 시 최저비행시정은? ① 8,000m ② 5,000m ③ 3,000m ④ 1,500m5,000m시계비행 기상상태의 비행시정 및 구름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A등급 공역에서 구름으로부터의 거리는 미적용 ② 해발 3,050m 미만에서 900m 또는 장애물사고 300m 중 높은 고도를 초과하는 B, C, E, D, F 및 G등급 공역에서 구름으로부터의 거리는 수평으로 1,500m, 수직으로 300m ③ 해발 3,050m 이상의 B, C, D, E, F 및 G등급 공역에서 비행시정은 8,000m ④ 해발 900m 또는 장애물상공 300m 중 높은 고도 이하인 B, C, D, 및 E등급 공역에서 구름으로부터의 거리는 지표면 육안 식별 및 구름을 피할 수 있는 거리해발 900m 또는 장애물상공 300m 중 높은 고도 이하인 B, C, D, 및 E등급 공역에서 구름으로부터의 거리는 지표면 육안 식별 및 구름을 피할 수 있는 거리경량항공기의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탑승자, 연료 및 비상용 장비의 중량을 제외한 해당 장치의 자체중량이 115kg 이하일 것 ② 최대이륙중량이 600kg 이하일 것 ③ 비행 중에 프로펠러의 각도를 조정할 수 없을 것 ④ 조종사 좌석을 포함한 탑승좌석이 2개 이하일 것탑승자, 연료 및 비상용 장비의 중량을 제외한 해당 장치의 자체중량이 115kg 이하일 것다음 중 경향항공기의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타면조종형 비행기 ② 경량 헬리콥터 ③ 동력 페러글라이더 ④ 자이로플레인동력 페러글라이더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유인자유기구 ② 동력 페러글라이더 ③ 동력활공기 ④ 회전익비행기동력활공기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의 범위에 속하는 동력비행장치는? ① 최대이륙주양이 600kg 이하일 것 ② 좌석이 1개인 비행장치로서 자체중량이 115kg 이하일 것 ③ 좌석이 1개인 비행장치로서 발동기가 1개 이상일 것 ④ 자체중량이 70kg 이하일 것좌석이 1개인 비행장치로서 자체중량이 115kg 이하일 것좌석이 1개인 비행장치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초경량비행장치의 범위에 속하는 동력비행장치의 자체중량은? ① 115kg 이하 ② 150kg 이하 ③ 190kg 이하 ④ 225kg 이하115kg 이하행글라이더라 함은 체중이동 및 타면조종 등의 방법으로 조종하는 비행장치로서 탑승자 및 비상용 장비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몇 kg 이하인 비행장치를 의미하는가? ① 150kg ② 115kg ③ 70kg ④ 50kg70kg다음 중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은? ① 항공운송사업 ② 소형항공운송사업 ③ 항공기사용사업 ④ 항공기취급업항공운송사업항공사업법에 의한 항공운송사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국내항공운송사업 ② 국제항공운송사업 ③ 소형항공운송사업 ④ 대형항공운송사업대형항공운송사업정기편 운항이란 공항과 공항사이에 일정한 ( )을 정하고 정기적인 운항계획에 따라 운항하는 항공기 운항을 말한다. ( )에 맞는 것은? ① 운임 ② 노선 ③ 계약 ④ 규정노선다음 중 부정기편 운항이 아닌 것은? ① 지점간 운항 ② 전세운송 ③ 상업서류송달 ④ 관광비행상업서류송달부정기편 운항 중 전세운송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한 지점과 다른 지점사이에 노선을 정하여 운항하는 운송사업 ② 노선을 정하지 아니하고 사업자와 항공기를 독점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간의 1개의 항공운송계약에 따라 운항하는 운송사업 ③ 한 지점을 이륙하여 중간에 착륙함이 없이 정하여진 노선에 따라 출발지점으로 돌아오는 운송사업 ④ 한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에 노선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운송사업노선을 정하지 아니하고 사업자와 항공기를 독점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 간의 1개의 항공운송계약에 따라 운항하는 운송사업부정기편 운항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관광비행 : 노선을 정하지 아니하고 사업자와 항공기를 독점하여 이용하려는 이용자 간의 1개의 항공운송계약에 따라 운항하는 것 ② 지점간운항 : 한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에 노선을 정하여 운항하는 것 ③ 전세운송 : 한 지점을 이륙하여 중간에 착륙하지 아니하고 정해진 노선을 따라 출발지점에 착륙하기 위하여 운항하는 것 ④ 전세운송 : 노선을 정하고 사업자와 항공기를 독점하여 이용하려는 이용자 간의 1개의 항공운송 계약에 따라 운항하는 것지점간운항 : 한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에 노선을 정하여 운항하는 것다음 중 항공기사용사업의 정의로 맞는 것은? ① 한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에 노선을 정하고 정기적으로 항공기를 운항하는 항공운송사업 ② 항공기에 대한 급유, 항공 화물 또는 수하물의 하역 또는 정비 등을 하는 사업 ③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 ④ 항공운송사업 외의 사업으로서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부터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하는 사업항공운송사업 외의 사업으로서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하는 사업항공기사용사업이란? ① 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무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의 운송 외의 업무를 행하는 사업 ② 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의 운송 외의 업무를 행하는 사업 ③ 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무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 ④ 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의 운송 외의 업무를 행하는 사업항공기사용사업의 사업범위가 아닌 것은? ① 응급구호를 포함한 수색 및 구조 ② 글라이더 견인 ③ 산불 등 화재진압 ④ 비행기를 이용한 건설자재의 운반비행이를 이용한 건설자재의 운반다음 중 항공기 사용사업의 대상이 아닌 것은? ① 화물의 운송 ② 비행훈련 ③ 약제 살포 ④ 공중 사진촬영화물의 운송항공기에 대한 급유, 항공 화물 또는 수하물의 하역, 그 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상조업을 하는 사업은? ① 항공운송사업 ② 항공기사용사업 ③ 항공운소주선업 ④ 항공기취급업항공기취급업다음 중 항공기취급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항공기급유업 ② 지상조업사업 ③ 항공기정비업 ④ 항공기하역업항공기정비업항공기취급업 중 지상조업사업이 아닌 것은? ① 출입국 관리 ② 항공기 동력지원 ③ 운항관리 ④ 항공기 급유항공기 급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