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절 항공기의 운항

우리나라 수도 서울의 상공을 통제공역으로 지정하는 경우는?

① 대통령이 정한다.
②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③ 국방부장관이 정한다.
④ 서울특별시장이 정한다.
Click the card to flip 👆
1 / 258
Terms in this set (258)
다음 중 공역에 대한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관제공역 - E등급 공역 ② 비관제공역 - G등급 공역 ③ 통제공역 - 비행금지공역 ④ 주의공역 - 비행제한공역주의공역 - 비행제한공역다음 주의공역 중 대규모 조종사의 훈련이나 비정상 형태의 항공활동이 수행되어지는 공역은? ① 훈련공역 ② 군작전공역 ③ 경계공역 ④ 위험구역경계공역다음 중 통제공역은? ① 경계구역 ② 군작전구역 ③ 위험구역 ④ 비행금지구역비행금지구역다음 중 주의공역에 포함되지 않는 공역은? ① 훈련구역 ② 군작전구역 ③ 위험구역 ④ 제한구역제한구역통제공역에서 비행하려는 자는 통제공역 비행허가신청서를 누구에게 제출해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국방부장관 ③ 지방항공청장 ④ 항공교통본부장지방항공청장다음 중 공역위원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① 통제구역의 설정 ② 항행안전시설의 이전 ③ 항공교통관제에 대한 중요한 절차 ④ 효율적인 공역사용의 제안, 권고항행안전시설의 이전항공기를 운항하기 위하여 반드시 표시하여야 할 사항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국적기호 ② 등록기호 ③ 당해국의 국기 ④ 소유자의 성명 또는 명칭당해국의 국기우리나라의 국적기호는? ① HL ② KOR ③ KAL ④ HBHL우리나라의 국적기호를 HL로 정한 것은? ① ICAO가 선정한 것이다. ② 우리나라 국회가 선정하여 각 체약국에 통보한 것이다. ③ 무선국의 호출부호 중에서 선정한 것이다. ④ 각국이 선정하여 ICAO에 통보한 것이다.무선국의 호출부호 중에서 선정한 것이다.항공기의 등록기호 표시방법 중 맞는 것은? ① 장식체가 아닌 4자리의 로마자 대문자와 숫자로 표시한다. ② 장식체가 아닌 4자리의 로마자와 숫자로 표시한다. ③ 장식체가 아닌 4자리의 아라비아 대문자와 숫자로 표시한다. ④ 장식체가 아닌 4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한다.장식체가 아닌 4자리의 로마자 대문자와 숫자로 표시한다.등록부호의 표시방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국적기호는 장식체가 아닌 로마자의 대문자 HL로 표시하여야 한다. ② 등록기호는 장칙체의 4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할여야 한다. ③ 국적기호는 등록기호의 뒤에 이어서 표시하여야 한다. ④ 등록기호의 구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항공사에서 정한다.국적기호는 장식체가 아닌 로마자의 대문자 HL로 표시하여야 한다.등록부호 표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국적기호는 장식체가 아닌 로마자이어야 한다. ② 국적기호는 등록기호의 뒤에 표시한다. ③ 등록기호는 장식체가 아닌 4자리의 로마자 대문자와 숫자의 조합이어야 한다. ④ 등록기호의 구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국적기호는 등록기호의 뒤에 표시한다.항공기의 국적기호 및 등록기호 표시 바법 중 틀린 것은? ① 등록기호는 국적기호의 뒤에 이어서 표시해야 한다. ② 국적기호는 장식체가 아닌 로마자의 대문자 HL로 표시해야 한다. ③ 등록기호는 장식체의 4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해야 한다. ④ 등록부호는 ㅇ지워지지 아니하고 선명하게 대조되는 색으로 표시해야 한다.등록기호는 장식체의 4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해야 한다.비행기와 활공기의 경우 등록부호를 표시하는 장소가 아닌 것은? ① 보조날개 ② 동체 ③ 주날개 ④ 꼬리날개보조날개비행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가 아닌 곳은? ① 주날개 오른쪽 위 ② 주날개 왼쪽 아래 ③ 수직 꼬리날개 양쪽면 ④ 동체 아랫면동체 아랫면등록부호의 표시장소로 맞는 것은? ① 주날개의 오른쪽 날개 윗면과 왼쪽 날개 아랫면 ② 양족 주날개의 날개 윗면 ③ 주날개의 오른쪽 날개 아랫면과 왼쪽 날개 윗면 ④ 양쪽 주 날개의 날개 아랫면주날개의 오른쪽 날개 윗면과 왼쪽 날개 아랫면비행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 중 틀린 것은? ① 주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오른족 날개 윗면 왼쪽 날개 아랫면에 표시 ② 꼬리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수직 꼬리날개 양쪽면에 표시 ③ 수평안정판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안정판 윗면에 표시 ④ 동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주날개와 꼬리날개 사이에 있는 동체 양쪽면의 수평안정판 바로 앞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표시수평안정판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안정판 윗면에 표시비행기와 활공기의 경우 주날개에 등록부호를 표시하는 경우 표시장소 및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날개와 꼬리날개 또는 주날개와 동체에 표시하여야 한다. ② 주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날개 아랫면과 왼쪽 날개 윗면에 표시한다. ③ 주날개의 앞끝과 뒤끝에서 같은 거리에 위치하도록 표시한다. ④ 기호는 보조날개와 플랩에 걸쳐서는 아니된다.주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날개 아랫면과 왼쪽 날개 윗면에 표시한다.헬리콥터의 경우 등록부호의 표시장소는? ① 동체 앞면과 옆면에 표시한다. ② 동체 윗면과 아랫면에 표시한다. ③ 동체 윗면과 옆면에 표시한다. ④ 동체 아랫면과 옆면에 표시한다.동체 아랫면과 옆면에 표시한다.헬리콥터의 등록부호 표시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동체 아랫면의 최대 횡단면 부근에 표시 ② 주회전 축과 보조회전익 축 사이의 동체에 표시 ③ 동력장치가 있는 부근의 양측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표시 ④ 동체 아랫면에 표시할 때에는 등록부호의 윗부분이 동체 우측을 향하도록 표시동체 아랫면에 표시할 때에는 등록부호의 윗부분이 동체 우측을 향하도록 표시항공기 등록부호의 표시장소로 틀린 것은? ① 비행기의 경우 주날개와 꼬리날개 또는 주날개와 동체 표시한다. ② 활공기의 경우 주날개와 수평 꼬리날개 또는 주날개와 수직 꼬리날개에 표시한다. ③ 헬리콥터의 경우 동체 아랫면과 동체 옆면에 표시한다. ④ 비행선의 경우 선체 또는 수평안정판과 수직안정판에 표시한다.활공기의 경우 주날개와 수평 꾀날개 또는 주날개와 수직 꼬리날개에 표시한다.비행기와 활공기의 주날개에 등록부호를 표시하는 경우 각 문자와 숫자의 높이는? ① 50cm 이상 ② 40cm 이상 ③ 35cm 이상 ④ 30cm 이상50cm 이상비행기의 경우 수직 꼬리날개 또는 동체에 등록부호를 표시할 때 각 문자와 숫자의 높이는? ① 20cm 이상 ② 30cm 이상 ③ 40cm 이상 ④ 50cm 이상30cm 이상헬리콥터의 동체 아랫면과 옆면에 표시하는 등록부호의 문자와 숫자의 크기는? ① 30cm, 30cm ② 30cm, 50cm ③ 50cm, 30cm ④ 50cm, 50cm50cm, 30cm등록부호에 사용하는 각 문자와 숫자의 높이로 잘못된 것은? ① 비행기와 활공기 : 주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50cm 이상 ② 비행기와 활공기 : 수직꼬리날갱 또는 동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30cm 이상 ③ 헬리콥터 : 동체 옆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50cm 이상 ④ 비행선 : 선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50cm 이상헬리콥터 : 동체 옆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50cm 이상등록부호의 표시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① 비행기의 주날개에 표시하는 경우 50cm 이상, 수직 꼬리날개 또는 동체ㅔㅇ 표시하는 경우 30cm 이상 ② 헬리콥터의 동체 아랫면에 표시하는 경우 50cm 이상, 동체옆면에 표시하는 경우 30cm 이상 ③ 비행선의 선체에 표시하는 경우 50cm 이상, 수평안정판과 수직안정판에 표시하는 경우 15cm 이상 ④ 활공기의 주날개에 표시하는 경우 30cm 이상, 수직 꼬리날개 또는 동체에 표시하는 경우 20cm 이상활공기의 주날개에 표시하는 경우 30cm 이상, 수직 꼬리날개 또는 동체에 표시하는 경우 20cm 이상등록부호에 사용하는 각 문자와 숫자의 크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폭은 문자 및 숫자의 높이의 3분의 2로 한다. ② 아라비아 숫자의 폭은 문자 및 숫자의 높이의 5분의 2로 한다. ③ 선의 굵기는 문자 및 숫자의 높이의 6분의 1로 한다. ④ 간격은 각 기호의 폭의 4분의 1 이상 2분의 1 이하로 한다.아라비아 숫자의 폭은 문자 및 숫자의 높이의 5분의 2로 한다.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외의 항공기가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는 경우 성치하지 않아도 되는 무선설비는? ① 2차감시 항공교통관제 레이더용 트랜스폰더(SSR transponder) ② 초단파(VHF) 무선전화 송수신기 ③ 거리측정시설(DME) 수신기 ④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거리측정시설(DME) 수신기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외의 항공기가 시계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는 경우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무선설비는? ① 초단파(VHF) 무선전화 송수신기 ② 자동방향탐지기(ADF) ③ 2차감지 항공교통관제 레이더용 트랜스폰더 ④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자동방향탐지기(ADF)항공 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가 계기비행을 할 때 필요한 무선설비가 아닌 것은? ① VHF 무선전화 송수신기 ② ADF ③ GPS ④ VOR 수신기GPS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외의 항공기가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는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의무무선설비가 아닌 것은? ① SSr transponder ② VOR 수신기 ③ VHF 또는 UHF 무선전화 송수신기 ④ ELTVOR 수신기항공운소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외의 항공기가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는 경우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무선설비는 어느 것인가? ① 2차감시 항공교통관제 레이더용 트랜스폰더 1대 ② 자동방향탐지기(ADF) 1대 ③ 계기착륙시설(ILS) 수신기 1대 ④ 전방향표지시설(VOR) 수신기 1대2차감시 항공교통관제 레이더용 트랜스폰더 1대최대이륙중량 5,700kg 미만의 항공기와 헬리콥터의 경우 설치하지 않아도되는 의무무선설비는? ① SSP tp ② ILS 수신기 ③ VHF 또는 UHF 무선전화 송수신기 ④ DME 수신기ILS 수신기항공기에 구비해야 할 무선설비 중 VHF 무전기의 구비요건이 아닌 것은? ① 비행장에서 관제를 목적으로 한방향 통신이 가능할 것 ② 항공기국과 항공국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것 ③ 항공비상주파수(121.5MHz 또는 243.0MHz)를 사용하여 통신이 가능할 것 ④ 비행 중 계속하여 기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비행장에서 관제를 목적으로 한방향 통신이 가능할 것다음 중 항공일지가 아닌 것은? ① 지상비치용 프로펠러 항공일지 ② 지상비치용 발동기 항공일지 ③ 지상비치용 기체 항공일지 ④ 탑재용 항공일지지상비치용 기체 항공일지항공기 소유주가 비치해야 할 항공일지가 아닌 것은? ① 탑재용 발동기 항공일지 ② 탑재용 항공일지 ③ 지상비치용 발동기 항공일지 ④ 지상비치용 프로펠러 항공일지탑재용 발동기 항공일지다음 중 탑재용 항공일지에 적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 등록부호 및 등록 연월일 ② 항공기 제작자, 제작번호 및 제작 연월일 ③ 구급용구의 탑재위치 및 수량 ④ 제작 후의 총 비행시간구급용구의 탑재위치 및 수량쌍발항공기가 육지로부터 얼마만큼 이상의 장거리 해상을 비행할 때는 구명보트를 갖추어야 하는가?(임계발동기가 작동하지 않아도 최저안전고도 이상으로 비행하여 착륙할 수 있는 경우) ① 270km ② 370km ③ 540km ④ 740km740km승객 좌석수가 201석부터 300석까지인 항공기 객실에 비치하여야 할 소화기의 수량은? ① 3개 ② 4개 ③ 5개 ④ 5개4개승객 좌석수 150석인 항공기 객실에 비치하여야 하는 소화기의 수량은?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3개다음 중 항공기 객실에 비치하여야 하는 소화기 수가 잘못된 것은? ① 승객 좌석수 6석부터 60석까지 : 2 ② 승객 좌석수 61석부터 200석까지 : 3 ③ 승객 좌석수 201석부터 300석까지 : 4 ④ 승객 좌석수 401석부터 500석까지 : 6승객 좌석수 6석부터 60석까지 : 2항공운송사업용 및 항공기사용사업용 항공기에 비치해야 할 도끼의 수는?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1개승객 좌석수가 100석부터 199석까지 항공운송사업용 여객기에 비치하여야 할 메가폰의 수는?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2개승객의 좌석수가 250석일 때 비치해야 할 메가폰 수는?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3개승객의 좌석수가 200석인 항공기에 비치하여야 할 구급읠용품의 수는? ① 1조 ② 2조 ③ 3조 ④ 4조2조다음 중 항공기에 탑재하여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 ① 항공기등록증명서 ② 감항증명서 ③ 탑재용 항공일지 ④ 형식증명서형식증명서항공기에 탑재해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① 항공일지 ② 정비, 개조일지 ③ 운항규정 ④ 운용한계 지정서 및 비행교범정비, 개조일지다음 중 항공기 비치서류가 아닌 것은? ① 비행계획서 ② 승무원 자격증명 ③ 무선국 허가증명서 ④ 소음기준적합증명서비행계획서항공기등록증명서, 감항증명서, 탑재용 항공일지 등 국토교ㅛ통부령이 정하는 서류를 탑재하지 않아도 되는 항공기는? ① 비행선 ② 활공기 ③ 헬리콥터 ④ 동력비행장치활공기여압장치가 없는 항공기가 기내의 대기압이 700hPa 미만 620pHa 이상의 비행고도에서 30분을 초과하여 비행하려는 경우 필요로 하는 산소의 양은? ①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비행고도 등 비행환경에 따라 적합하게 필요로 하는 양 ②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해당 비행시간 동안 필요로 하는 양 ③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최소한 10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양 ④ 승객 10%와 승무원 전원이 그 초과되는 시간동 안 필요로 하는 양승객 10%와 승무원 전원이 그 초과되는 시간동안 필요로 하는 양여압장치가 있는 비행기가 기내 대기압이 700hPa 미만인 경우 요구되는 산소량은? ①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우언이 비행고도 등 비행환경에 따라 적합하게 필요로 하는 양 ②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해당 비행시간 동안 필요로 하는 양 ③ 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최소한 10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양 ④ 승객 10%와 승무원 전원이 그 초과되는 시간 동안 필요로 하는 양승객 전원과 승무원 전원이 비행고도 등 비행환경에 따라 적합하게 필요로 하는 양여압장치가 있는 비행기의 경우 기압저하경보장치를 장착하여야 하는 경우는? ① 기내 대기압이 376hPa 미만인 비행고도로 비행하려는 경우 ② 기내 대기압이 376hPa 이상인 비행고도로 비행하려는 경우 ③ 기내 대기압이 620hPa 미만인 비행고도로 비행하려는 경우 ④ 기내 대기압이 620hPa 이상인 비행고도로 비행하려는 경우기내 대기압이 376hPa 미만인 비행고도로 비행하려는 경우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가 얼마를 초과하는 고도로 운항하려는 경우 방사선투사량계기를 갖추어야 하는가? ① 10,000m(33,000ft) ② 15,000m(49,000ft) ③ 10,000m(66,000ft) ④ 25,000m(82,000ft)15,000m(49,000ft)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항공기에 갖추어야 할 항공계기가 아닌 것은? ① 나침반 ② 속도계 ③ 정밀기압고도계 ④ 승강계승강계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가 시계비행시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계기는? ① 나침반 ② 정밀기압고도계 ③ 속도계 ④ 외기온도계외기온도계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는 경우 낮추어야 할 항공계기는? ① 외기온도계, 정밀기압고도계, 나침반, 속도계, 승강계 ② 외기온도계, 기압고도계, 나침반, 속도계, 시계 ③ 정밀기압고도계, 기압고도계, 승강계, 속도계, 시계 ④ 정밀시압고도계, 기압고도계, 나침반, 속도계, 시계정밀기압고도계, 기압고도계, 나침반, 속도계, 시계항공운송사업에 사용하는 비행기가 계기비행시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계기는? ① 외기온도계 ② 안정성유지시스템 ③ 시계 ④ 정밀기압고도계안정성유지시스템다음 중 사고예방 및 사고조사를 위해 항공기에 갖추어야 할 장치가 아닌 것은? ① 동결방지장치 ② 지상접근경고장치(GPWS) ③ 공중충돌경고장치(ACAS) ④ 비행기록장치(FDR)동결방지장치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에 장착하여야 하는 사고예방장치는? ① 지상접근경고장치(GPWS) ② 비행기록장치(FDR) ③ 공중충돌경고장치(ACAS) ④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공중충돌경고장치(ACAS)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거나 승객 9명을 초과하여 수송할 수 있는 터반발동기를 장착한 비행기에 장착하여야 하는 장치는? ① 위치추적장치 ② 비행기록장치 ③ 지상접근경고장치(GPWS) ④ 공중충돌경고장치(ACAS)지상접근경고장치(GPWS)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빈발동기를 장착한 비행기에 사고예방 또는 사고조사를 위하여 장착하여야 하는 장치는? ① 공중충돌경고장치(ACAS) ② 지상접근경고장치(GPWS) ③ 비행기록장치 ④ 전방돌충경고장치비행기록장치항공기 운항 중 비행기록장치를 갖추어야 하는 항공기는? ①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 ②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최대이륙중량 5,700kg 이상의 비행기 ③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승객 30명을 초과하여 수송할 수 있는 비행기 ④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빈 발동기를 장착한 비행기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빈 발동기를 장착한 비행기지상접근장치(GPWS)가 경고를 제공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플랩의 착륙위치 또는 착륙바퀴가 착륙위치로 고정되니 착륙형태를 갖춘 상태에서 지형지물과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② 이륙 또는 복행 후 과도한 고도의 손실이 있는 경우 ③ 지형지물에 대한 과도한 접근율이 발생하는 경우 ④ 계기활공로 아래로의 과도한 강하가 이루어진 경우플랩의 착륙위치 또는 착륙바퀴가 착륙위치로 고정된 착륙형태를 갖춘 상태에서 지형지물과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항공운송사업 및 항공기사용사업에 사용되는 왕복발동기 장착 비행기가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자잉 요구될 경우,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추가로 실어야 할 연료의 양은? ① 해당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속도 및 순항고도로 2시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 ② 해당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속도 미치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 ③ 해당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이상사태 발생시에 대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추가의 연료 ④ 순항속도로 2시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해당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속도 및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항공운송사업용 비행기가 시계비행을 할 경우 추가하여야 할 연료의 양은? ① 순항속도로 3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의 양 ② 순항속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의 양 ③ 순항속도로 6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의 양 ④ 순항속도로 9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의 양순항속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의 양항공운송사업용 및 항공기사용사업용 비행기가 시계비행을 할 경우 실어야 할 연료의 양은? ①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에 그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속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②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에 그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속도로 2시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③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에 순항속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④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에 순항속도로 2시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에 순항속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항공운송사업 및 항공기사용사업용 외의 비행기가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자잉 요구될 경우 프로펠러추진 발동기 항공기의 예비 연료량은? ① 최초의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② 최초의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교테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고도로 3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③ 최초의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④ 최초의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순항고도로 3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최초의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을 마친 후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항공운송사업 및 항공기사용사업용 외의 비행기가 주간에 시계비행을 할 경우 예정된 착륙공항까지 비행에 필요한 양에 추가로 실어야 할 연료의 양은? ① 순항고도로 3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②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③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3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 ④ 교체비행장까지 비행에 필요한 연료의 양에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순항고도로 30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양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보제트 항공기가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요구될 경우 탑재하여야 할 연료량 중 교체비행장에서 표준기온으로 450m(1,500ft)에서 얼마간 체공할 연료량이 필요한가? ① 15분 ② 30분 ③ 45분 ④ 60분30분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빈발동기를 장착한 항공기로 계기비행시 교체비행장이 요구될 경우 Holding Fuel은 몇 m(ft)에서 하는 것으로 계산되는가? ① 300m(1,000ft) ② 450m(1,500ft) ③ 600m(2,000ft) ④ 750m(2,500ft)450m(1,500ft)항공기를 야간에 비행시키거나 비행장에 정류 또는 정박시키는 경우에 있어, 야간의 의미는? ① 일몰 30분 전부터 일출 30분 후까지 ② 일몰 1시간 전부터 일출 1시간 후까지 ③ 일몰시부터 일출시까지의 사이 ④ 일몰 10분 전부터 일출 10분 후까지일몰시부터 일출시까지의 사이항공기가 야간에 조명시설이 없는 비행장에 정박해 있을 때 무엇으로 위치를 알리는가? ① 충돌방지등 ② 우현등, 좌현등 ③ 위치지시등 ④ 항행등항행등항공기가 야간에 공중, 지상 또는 수상을 항행하는 경우 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항공기의 등불은? ① 우현등, 좌현등, 미등 ② 좌현등, 미등, 위치지시등 ③ 우현등, 미등, 충돌방지등 ④ 우현등, 미등, 좌현등, 충돌방지등우현등, 미등, 좌현등, 충돌방지등야간에 항공기를 비행장에 정류 또는 정박시키는 경우 항공기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등불은? ① 충돌방지등, 우현등, 좌현등, 미등 ② 충돌방지등, 우현등, 좌현등 ③ 우현등, 좌현등, 미등 ④ 좌현등, 미등우현등, 좌현등, 미등항공운송사업 및 항공기사용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운항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조종사에 필요한 최근의 비행경험은? ① 90일 이전에 같은 형식의 항공기로 각각 3회 이상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경험 ② 60일 이전에 같은 형식의 항공기로 각각 3회 이상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경험 ③ 90일 이전에 같은 형식의 항공기로 각각 6회 이상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경험 ④ 60일 이전에 같은 형식의 항공기로 각각 6회 이상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경험90일 이전에 같은 형식의 항공기로 각각 3회 이상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경험야간에 운항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조종사는 적어도 야간에 몇 회의 미륙 및 착륙을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하는가? ① 1회 ② 2회 ③ 3회 ④ 4회1회항공운송사업 및 항공기사용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계기비행에 종사하고자 하는 운항승무원 중 조종사에게 필요한 계기비행 경험은? ① 비행전 3개월 이전에 3시간의 계기비행 경력 ② 비행전 3개월 이전에 6시간의 계기비행 경력 ③ 비행전 6개월 이전에 6시간의 계기비행 경력 ④ 비행전 6개월 이전에 9시간의 계기비행 경력비행전 6개월 이전에 6시간의 계기비행 경력계기비행에 종사하려는 운항승무원 중 조종사가 계기비행을 하려는 날부터 계산하여 그 이전 6개월까지의 사이에 필요한 계기비행의 경험은? ① 3회 이상의 계기접근과 3시간 이상의 계기비행을 행한 경험 ② 3회 이상의 계기접근과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을 행한 경험 ③ 6회 이상의 계기접근과 3시간 이상의 계기비행을 행한 경험 ④ 6회 이상의 계기접근과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을 행한 경험6회 이상의 계기접근과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을 행한 경험조종교육 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조종사에게 필요한 조종교육 경험은? ① 1년까지의 사이에 10시간 이상 ② 1년까지의 사이에 20시간 이상 ③ 6월까지의 사이에 10시간 이상 ④ 6월까지의 사이에 6시간 이상1년까지의 사이에 10시간 이상항공운송사업 또는 항공기사용사업에 종사하는 운항승무원의 연속 24시간 동안 최대승무시간과 최대비행근무시간 기준으로 맞는 것은? ①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일 때 최대승무시간 8시간, 최대비행근무시간 12시간 ②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일 때 최대승무시간 12시간, 최대비행근무시간 16시간 ③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일 때 최대승무시간 12시간, 최대비행근무시간 17시간 ④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일 때 최대승무시간 13시간, 최대비행근무시간 20시간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일 때 최대승무시간 12시간, 최대비행근무시간 16시간운항승무원에 대하여 제한할 수 있는 연속되는 24시간의 최대비행근무시간 및 연속되는 28일 및 365일의 최대승무시간으로 맞는 것은? ①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일 때 연속 24시간 13시간, 연속 28일 100시간, 365일 1,000시간 ②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일 때 연속 24시간 15시간, 연속 28일 120시간, 365일 1,000시간 ③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일 때 연속 24시간 16시간, 연속 28일 120시간, 365일 1,000시간 ④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이 때 연속 24시간 18시간, 연속 28일 120시간, 365일 1,000시간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일 때 연속 24시간 13시간, 연속 28일 100시간, 365일 1,000시간다음 중 비행근무시간의 정의로 맞는 것은? ① 비행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정한 장소에 출두한 시각부터 비행으 종료한 후 최종적으로 항공기가 정지한 시각까지 경과한 총 시간 ② 비행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정한 장소에 출두한 시각부터 비행을 종료한 후 디브리핑 시각까지의 승무시간, 기내 휴식시간을 포함한 총시간 ③ 비행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정한 장소에 출두한 시각부터 비행을 종료한 후 디브리핑 시각까지의 비행준비시간, 승무시간, 기내 휴식시간을 포함한 총시간 ④ 운항승무원이 1개 구간 또는 연속되는 2개 구간 이상의 비행이 포함된 근무의 시작을 보고한 때부터 마지막 비행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항공기의 발동기가 정지된 때까지의 총 시간운항승무원이 1개 구간 또는 연속되는 2개 구간 이상의 비행이 포함된 근무의 시작을 보고한 때부터 마지막 비행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항공기의 발동기가 정지된 때까지의 총 시간객실승무원에게 허용되는 연간 최대승무시간은? ① 1,000시간 ② 1,200시간 ③ 1,400시간 ④ 1,600시간1,200시간다음 중 항공종사자가 주정성분이 있는 음료를 섭취하고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혈중 알콜 농도의 기준은? ① 0.2% 이상 ② 0.4% 이상 ③ 0..02% 이상 ④ 0.04% 이상0.02%소속송무원으로 하여금 항공종사자의 주류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 측정을 지시할 수 있는 자는? ① 항공안전본부장 ② 항공교통본부장 ③ 지방항공청장 ④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지방항공청장항공사기준사고가 발생한 때에 기장은 누구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항공사고조사위원회 ③ 항공교통본주장 ④ 교통안전공단 이사장국토교통부장관기장은 항공기사고 또는 항공기준사고가 발생한 때에 언제까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하는가? ① 즉시 보고해야 한다. ② 72시간 이내 ③ 7일 이내 ④ 10일 이내즉시 보고해야 한다.항공안전위해요인을 발생시켰거나 발생한 것을 안 사람 또는 발생될 것이 예상된다고 판단하는 사람은? ①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할 수 있다. ② 72시간 이내에 곡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한다. ③ 1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한다. ④ 15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한다.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할 수 있다.항공안전위해요인을 발생시킨 사람이 발생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한 경우 처분을 하지 아니할 수 있는가? ① 7일 ② 10일 ③ 15일 ④ 20일10일다음 중 기장의 권한과 역할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 안에 있는 여객에 대하여 안전에 필요한 사항을 명할 수 있다. ② 항공기 또는 여객에 위난이 생길 때 가장 먼저 탈출하여 여객의 안전을 위한 조치를 강구한다. ③ 항공기의 승무원을 지휘 및 감독한다. ④ 항공기로 인한 사람의 사상 또는 물건의 손괴발생시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한다.항공기 또는 여객에 위난이 생길 때 가장 먼저 탈출하여 여객의 안전을 위한 조치를 강구한다.항공기 기장의 직무와 권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그 항공기의 승무원을 지휘, 감독한다. ② 항공기에 있는 여객에게 안전에 필요한 사항을 명할 수 있다. ③ 규정에 의한 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④ 항공기 내에서 발생한 범죄에 대하여 사법권을 갖는다.항공기 내에서 발생한 범죄에 대하여 사법권을 갖는다.기장은 항공기에 관한 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해야 한다. 다음 중 보고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① 사람의 사망, 중상 또는 행방불명 ② 항공기의 파손 또는 구조적 손상 ③ 항공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거나 항공기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④ 무선설비로 다른 항공기의 추락, 충돌 또는 화대 사실을 알았을 때무선설비로 다른 항공기의 추락, 충돌 또는 화재 사실을 알았을 때기장은 항공기사고 또는 항공기준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장이 보고할 수 없는 경우 누가 보고해야 하는가? ① 부조종사 ② 사고 조사관 ③ 당해 항공기 소유자등 ④ 당해 항공기 관제사당해 항공기 소유자 등항공안전위해요인 보고는 누구에게 하여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자율보고위원회 ② 항공교통관제소 ③ 한국교통안전공단 ④ 관할 지방항공청한국교통안전공단기장이 항공기 출발전 확인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기내식 탑재량 ② 연료 및 오일의 탑재량과 그 품질 ③ 항공정보 ④ 해당 운항에 필요한 기상정보기내식 탑재량다음 중 항공기 출발전 기자잉 확인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연료 및 오일의 탑재량과 그 품질 ② 의무무선설비 및 항공계기 등의 장착 ③ 항공기 외부점검 ④ 탑승자 명단탑승자 명단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기장의 운항자격 인정을 위한 심사항목은? ① 항공일지 ② 기상정보 ③ 승객 및 승무원 명단 ④ 발동기의 지상 시운전 점검승객 및 승무원 명단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자으이 운항자격 인정으르 위한 심사항목은? ① 지식 및 기량 ② 기량 및 경험 ③ 지식 및 경험 ④ 지식지식 및 기량기장 외의 조종사의 운항자격 인정을 위한 심사항목은? ① 지역, 노선 및 공항 ② 경험 ③ 지식 ④ 기량기량항공운송사업에 종사하는 항공기의 기장이 갖추어야 할 경험요건은? ① 지역, 노선 및 공항 ② 지역 및 노선 ③ 지역 및 공항 ④ 노선지역, 노선 및 공항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기장의 운항자격 인정을 위한 지식요건에 관한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수색 및 구조절차 ② 비상절차 ③ 기상, 통신 및 항공교통시설 업무와 절차 ④ 항행안전시설 및 그 이용절차비상절차기장의 운항자격 인정을 위한 지식요건이 아닌 것은? ① 지형 ② 최저안전고도 ③ 계절별 기상특성 ④ 예비시설예비시설기장의 운항자격 심사시 해당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지형 및 최저안전고도 ② 수색 및 구조절차 ③ 도착지의 연료 재보급 체계 ④ 계절별 기상특성도착지의 연료 재보급 체계기장 등의 운항자격 인정을 위한 기량요건에 관한 심사항목이 아닌 것은? ① 정상 상태에서의 조종기술 수행능력 심사 ② 비정상 상태에서의 비상절차 수행능력 심사 ③ 비정상 상태에서의 조종기술 수행능력 심사 ④ 실제 엔진고장 상태에서의 비행절차 수행능력 심사실제 엔진고장 상태에서의 비행절차 수행능력 심사신규로 개설되는 노선을 운항하려는 기장이 경험요건에 관한 심사를 면제 받을 수 있는 경우로 맞는 것은? ① 운항하고자 하는 공항 및 노선에 대한 시각장비 또는 비행장 도면이 포함된 운항절차를 교육받고 위촉심사관으로부터 확인을 받은 경우 ② 위촉심사관 또는 운항하려는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기장 비행시간이 1,200시간 이상인 경우 ③ 위촉심사관 또는 운항하려는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기장 비행시간이 1,400시간 이상인 경우 ④ 위촉심사관 또는 운항하려는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기장 비행시간이 1,500시간 이상인 경우운항하고자 하는 공항 및 노선에 대한 시각장비 또는 비행장 도면이 포함된 운항절차를 교육받고 위촉심사관으로부터 확인을 받은 경우신규로 개설되는 노선의 운항자격을 위한 시험요건을 면제할 수 있는 해당 형식의 항공기 기장으로서의 비행시간은? ① 800시간 이상 ② 1,000시간 이상 ③ 1,200시간 이상 ④ 1,500시간 이상1,000시간 이상기장 등의 기량유지에 관한 심사 시 정상상태에서의 조종기술에 대한 정기심사 횟수는? ① 매년 1회 이상 ② 매년 2회 이상 ③ 매년 3회 이상 ④ 2년마다 1회 이상매년 1회 이상2개 이상의 기종을 조종하는 조종사의 운항자격 정기심사 기준으로 맞는 것은? ① 6개월에 1회 ② 기종별 격년제로 실시 ③ 기종별 매년 1회 이상 ④ 기종별 전후반기 1회 이상기종별 격년제로 실시조종사의 운항자격을 수시로 심사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항공관련법규 위반으로 처분을 받은 경우 ② 3개월 이상 비행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한 경우 ③ 항공기의 사고 또는 비정상운항이 있는 경우 ④ 자격인정을 받은 해당 항공기의 성능에 중요한 변경이 있는 경우3개월 이상 비행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한 경우다음 중 위촉심사관의 위촉 또는 지정요건이 아닌 것은? ①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으로서의 비행시간이 2,000시간 이상이거나, 해당 형식의 항공기 기장으로서의 비행시간이 1,000시간 이상이고 위촉심사관이 되기 위한 훈련을 받은 사람일 것 ② 조종사의 운항자격인정을 받은 사람일 것 ③ 조종사의 운항자격인정 및 심사를 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량이 있을 것 ④ 자격증명의 효력 졍지처분을 받고 그 정지기간이 끝나거나 정지가 면제된 날부터 1년이 지난사람일 것자격증명의 효력 정지처분을 받고 그 정지기간이 끝나거나 정지가 면제된 날부터 1년이 지난사람일 것위촉심사관에 대한 심사기준으로 올바른 것은? ① 지식 및 기량에 관하여 1년마다 심사한다. ② 지식 및 기량에 관하여 2년마다 심사한다. ③ 지식에 관하여는 1년마다, 기량에 관하여는 2년마다 심사한다. ④ 지식에 관하여는 2년마다, 기량에 관하여는 1년마다 심사한다.지식에 관하여는 1년마다, 기량에 관하여는 2년마다 심사한다.운항관리사를 두어야 하는 경우는? ① 최대이륙중량 5,700kg을 초과하는 항공기를 운항하는 항공사업자 ② 정기항공운송사업자와 국제항공운송사업자 ③ 항공운송사업자와 국외운항항공기 소유자 ④ 항공운송사업자항공운송사업자와 국외운항항공기 소유자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은 그 항공기를 출발시키거나 비행계획을 변경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누구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지방항공청장 ③ 항공교통관제사 ④ 운항관리사운항관리사다음 중 허가없이 비행장 이외의 지역에서 이착륙이 가능한 항공기는? ① 헬리콥터 ② 활공기 ③ 동력활공기 ④ 초경량비행장치활공기비행장 이외의 장소에서 이륙하거나 착륙하기 위해서는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항공교통본부장 ③ 지방항공청장 ④ 해당 지역 시도지사국토교통부장관항공기 이륙 또는 착륙 장소 외에서 이륙 또는 착륙하고자 하는 자는 허가신청서를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해당 시도지사 ③ 항공교통본부장 ④ 지방항공청장국토교통부장관비행장 외의 장소에서 이륙 또는 착륙의 허가신청은 몇 개월 이내의 범위에서 하여야 하는가? ① 1개월 ② 3개월 ③ 6개월 ④ 12개월6개월시계비행방식에 의하여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의 상공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해당 항공기를 중심으로 한 최저비행고도는? ① 수평거리 300m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 150m의 고도 ② 수평거리 300m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에서 300m의 고도 ③ 수평거리 600m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에서 150m의 고도 ④ 수평거리 600m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에서 300m의 고도수평거리 600m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에서 300m의 고도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된 지역 외의 지역에서 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시 최저비행고도는? ① 지표면, 수면 또는 물건의 상단에서 150m의 고도 ② 지표면, 수면 또는 물건의 상단에서 200m의 고도 ③ 지표면, 수면 또는 물건의 상단에서 250m의 고도 ④ 지표면, 수면 또는 물건의 상단에서 300m의 고도지표면, 수면 또는 물건의 상단에서 150m의 고도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최저비행고도는? ① 산악지역에서는 반경 8km 이내에 위치한 가장 높은 장애물로부터 300m의 고도 ② 산악지역에서는 반경 8km 이내에 위치한 가장 높은 장애물로부터 600m의 고도 ③ 산악지역 외의 지역에서는 반경 6km 이내에 위치한 가장 높은 장애물로부터 300m의 고도 ④ 산악지역 외의 지역에서는 반경 6km 이내에 위치한 가장 노은 장애물로부터 600m의 고도산악지역에서는 반경 8km 이내에 위치한 가장 높은 장애물로부터 600m의 고도최저비행고도 아래에서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항공교통관제기관 ③ 지방항공청장 ④ 항공교통본부장국토교통부장관최저비행고도 아래에서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누구에게 비행허가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항공교통관제기관 ③ 항공교통본부장 ④ 지방항공청장지방항공청장비행장 안의 이동지역에서 항공기의 지상이 동시 준수하여야 할 사항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정면 또는 이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항공기 상호간에는 각각 오른쪽으로 진로를 바꿀 것 ② 교차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항공기 상호간에는 다른 항공기르르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할 것 ③ 기동지역에서 지상이동 하는 항공기는 관제탑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활주로로 이동을 하여 보고를 하고 이륙할 것 ④ 기동지역에서 이동하는 항공기는 관제탑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활주로진입전대기지점에서 정지, 대기할 것기동지역에서 지상이동 하는 항공기는 관제탑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신속히 활주로로 이동을 하여 보고를 하고 이륙할 것비행장 또는 주변에서의 비행방법이 아닌 것은? ① 해당 비행장의 시계비행 착륙기상 최저치 미만의 기상상태에서는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착륙을 시도하지 말 것 ② 이륙하는 항공기는 안전고도 미만의 고도 또는 안전속도 미만의 속도에서 선회하지 말 것 ③ 터빈발동기를 장착한 이륙항공기는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300m(1,000ft)의 고도까지 가능한한 신속히 상승할 것 ④ 해당 비행장을 관할하는 항공교통관제기관과 무선통신을 유지할 것터빈발동기를 장착한 이륙항공기는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300m(1,000ft)의 고도까지 가능한한 신속히 상승할 것비행장 또는 주변에서의 비행방법 중 틀린 것은? ① 터빈발동기를 장착한 이륙항공기는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450m(1,500ft)의 고도까지 가능한한 신속히 상승할 것 ② 시계비행 착륙기상 최저치 미만의 기상상태에서는 계기비행방식에 의한 착륙도 시도하지 말 것 ③ 비행장에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하거나 이륙 중 선회가 필요할 경우에는 달리 지시를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좌선회할 것 ④ 다른 항공기 다음에 이륙하려는 항공기는 그 다른 항공기가 이륙하여 활주로의 종단을 통과하기 전에는 이륙을 위한 활주를 시작하지 말 것시계비행 착륙기상 최저치 미만의 기상상태에서는 계기비행방식에 의한 착륙도 시도하지 말 것터빈발동기를 장착한 이륙항공기는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몇 m까지 가능한 한 신속히 상승하여야 하는가? ① 300m(1,000ft) ② 450m(1,500ft) ③ 500m(1,600ft) ④ 600m(1,800ft)450m(1,500ft)공항교통장주(Traffic Pattern)의 정의로 맞는 것은? ① 공항 교통의 보호를 위하여 공항 주위에 설정한 일정한 범위의 비행로 ② 공항 부근의 공역 내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비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비행로 ③ 항공교통업무의 제공을 위하여 공항 주위에 설정한 특정 비행로 ④ 항공기의 이륙 및 착륙을 위하여 사용되는 비행로공항 부근의 공역 내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비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비행로2만9천ft 미만에서 180°~359° 방향으로 시계비행시 순항고도는? ① 1,000ft의 짝수배 고도 +500ft ② 1,000ft의 홀수배 고도 +500ft ③ 1,000ft의 짝수배 고도 ④ 1,000ft의 홀수배 고도1,000ft의 짝수배 고도 +500ft고도 29,000ft 미만에서 시계비행방식에 의해 000°~359°로 항행시 순항고도는? ① 1,000ft의 짝수배 고도 +500ft ② 1,000ft의 짝수배 고도 ③ 1,000ft의 홀수배 고도 +500ft ④ 1,000ft의 홀수배 고도1,000ft의 홀수배 고도 +500ft계기비행으로 29,000ft 이상에서 자방위 180°~359°로 항행시 순항고도는? ① 29,000ft ② 31,000ft ③ 33,000ft ④ 34,000ft31,000ft180°~359° 방향으로 계기비행시 고도 29,000ft 이상에서의 순항고도는? ① 29,,000ft, 33,000ft, 37,000ft ② 31,000ft, 35,000ft, 39,000ft ③ 33,000ft, 37,000ft, 41,000ft ④ 31,500ft, 15,500ft, 39,500ft31,000ft, 35,000ft, 39,000ftFL290 이하 계기비행시 000°에서 179°까지 사용되는 순항고도는? ① 1,000ft의 홀수배 고도 ② 2,000ft의 홀수배 고도 ③ 3,000ft의 홀수배 고도 ④ 4,000ft의 홀수배 고도1,000ft의 홀수배 고도다음 중 270° 방향으로 시계비행중인 항공기가 지켜야 할 비행고도는? ① 8,000ft ② 8,500ft ③ 9,000ft ④ 9,500ft8,500ft시계비행방식으로 000°에서 179°까지 비행시 순항고도로 적당한 것은? ① 25,000ft ② 26,000ft ③ 26,500ft ④ 27,500ft27,500t항공기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계기비행시 유지해야 할 고도는? ① 29,000ft ② 30,000ft ③ 31,000ft ④ 32,000ft29,000ft비행방량 0°~179°로 시계비행방식에 의해 고도 29,000ft 이상 비행시 관제사 지시 이외에 가장 낮게 비행할 수 있는 고도는? ① 30,000ft ② 31,000ft ③ 32,000ft ④ 33,000ft29,000ft기압고도계의 수정을 위한 전이고도는 누가 지정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항공교통본부장 ③ 지방항공청장 ④ 항공교통관제사국토교통부장관전이고도 이하의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기압고도계의 수정은? ① 표준기압치 1013.2hPa로 수정 ② 표준기압치 29.92hPa로 수정 ③ 185km 이내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QNH로 수정 ④ 185km 이내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QNE로 수정185km 이내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QNH로 수정전이고도 이하의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몇 해리 이내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QNH로 기압고도계를 수정하여야 하는가? ① 55NM ② 100NM ③ 125NM ④ 185NM100NM전이고도를 초과한 고도에서의 표준기압치 및 전이고도 이하에서의 QNH 유효거리는? ① 760hPa, 100km ② 760hPa, 185km ③ 1013.2hPa, 100km ④ 1013.2hPa, 185km1013.2hPa, 185km전이고도를 초과한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기압고도계의 수정은? 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QNH로 수정 ② 비행정보기관으로부터 받은 최신 QNH로 수정 ③ 1013.2hPa로 수정 ④ 29.92hPa로 수정1013.2hPa로 수정교차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 통행의 우선순위는? ① 기구류 - 비행선 - 활공기 - 비행기 ② 기구류 - 활공기 - 비행선 - 비행기 ③ 비행선 - 활공기 - 기구류 - 비행기 ④ 비행선 - 기구류 - 활공기 - 비행기기구류 - 활공기 - 비행선 - 비행기충돌방지를 위한 항공기 상호간에 통행의 우선순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비행기, 헬리콥터는 비행선, 기구류 및 활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 ②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은 항공기 또는 물건을 예항하는 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 ③ 비행선은 기구류 및 활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 ④ 기구류는 활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기구류는 활공기에 진로를 양보할 것비행 중 교차하거나 그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고도의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 진로의 양보는? ① 다른 항공기를 상방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② 다른 항공기를 하방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③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④ 다른 항공기를 좌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다음 중 통행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항공기는? ① 착륙 진입단계에 있는 항공기 ② 항로상의 항공기 ③ 공중 선회중의 항공기 ④ 지상유도로 상의항공기착륙 진입단계에 있는 항공기착륙을 위하여 비행장에 접근하고 있는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 통행의 우선순위로 맞는 것은? ① 속도가 빠른 항공기는 속도가 느린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 ②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는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 ③ 이륙을 위하여 대기중인 항공기는 착륙장주에 진입한 항공기에 대해 우선권을 갖는다. ④ 군용기 및 경찰기 등 공무 항공기에 관제탑은 통행우선순위를 지시한다.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는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통행의 우선순위와 진로의 양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활공기는 비행선에 진로를 양보한다. ②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은 물건을 예항하는 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 ③ 착륙을 위하여 접근중인 항공기보다 비행중인 항공기에 진로의 우선권이 있다. ④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보다 진로의 우선권이 있다.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은 물건을 예항하는 다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항공기 통행의 우선순위로 맞는 것은? ① 착륙을 위해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한다. ② 다른 항공기를 좌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한다. ③ 비행기와 헬리콥터는 활공기, 비행선 및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한다. ④ 활공기는 비행선 및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한다.비행기와 헬리콥터는 활공기, 비행선 및 기구류에 진로를 양보한다.상호교차 또는 이와 유사한 방향으로 접근하는 두 항공기(A 항공기 H/D 360°, B항공기 270°)의 진로 우선순위로 맞는 것은? ① A가 B를 우측에서 보기 때문에 A가 B에게 진로를 양보한다. ② A가 B를 좌측에서 보기 때문에 A가 B의 우측으로 회피해야 한다. ③ B가 A를 우측에서 보기 때문에 A가 B에게 진로를 양보한다. ④ B가 A를 좌측에서 보기 때문에 A가 B의 우측으로 회피해야 한다.A가 B를 우측에서 보기 때문에 A가 B에게 진로를 양보한다.두 항공기가 정면 또는 이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경우에 취해야 할 행동으로 맞는 것은? ① 먼저 본 항공기가 오른쪽으로 피한다. ② 먼저 본 항공기가 왼쪽으로 피한다. ③ 서로 기수를 오른쪽으로 돌린다. ④ 서로 기수를 왼쪽으로 돌린다.서로 기수를 오른쪽으로 돌린다.전방에 비행중인 항공기를 추월할 때 추월방향은? ① 우측으로 추월한다. ② 좌측으로 추월한다. ③ 위쪽으로 추월한다. ④ 아래쪽으로 추월한다.우측으로 추월한다.다른 항공기의 후방 좌오 70도 미만의 각도에서 전방의 항공기를 추월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① 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위쪽을 통과하여야 한다. ② 추월당하는 항고이의 아래쪽을 통과하여야 한다. ③ 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오른쪽을 통과하여야 한다. ④ 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왼쪽을 통과하여야 한다.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오른쪽을 통과하여야 한다.진로의 양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후방좌우 90도 미만의 각도에서 전방의 항공기를 추월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왼쪽을 통과 ② 착륙을 위해 비행장에 접근중인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 양보 ③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은 항공기 또는 물건을 예항하는 다른 항공기에 진로 양보 ④ 비행중이거나 지상 또는 수상 운항중인 항공기는 착륙 중이거나 착륙하기 위하여 최종접근 중인 항공기에 진로 양보후방좌우 90도 미만의 각도에서 전방의 항공기를 추월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왼쪽을 통과진로의 양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행중이거나 지상에서 운항중인 항공기는 착륙중인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② 착륙을 위해 비행장에 접근중인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는 높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는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③ 교차하는 동순위의 항공기 상호간에 있어서는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④ 후방좌우 70도 미만의 각도에서 전방의 항공기를 추월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왼쪽을 통과하여야 한다.후방좌우 70도 미만의 각도에서 전방의 항공기를 추월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추월당하는 항공기의 왼쪽을 통과하여야 한다.지표면으로부터 750m(2,500ft)를 초과하고, 평균해면으로부터 3,050m(10,000ft) 미만의 고도에서느느 얼마 이하의 속도로 비행하여야 하는가? ① 대지속도 200kts ② 대지속도 250kts ③ 지시대기속도 200kts ④ 지시대기속도 250kts지시대기속도 250ktsC등급 또는 D등급 공역 내의 공항으로부터 반경 7.4km(4해리) 내의 지표면으로부터 750m(2,500ft) 까지는 어느 속도를 유지해야 하는가? ① 진대기속도 200노트 이하 ② 지시대기속도 200노트 이하 ③ 진대기속도 250노트 이하 ④ 지시대기속도 250노트 이하지시대기속도 200노트 이하공역에서의 비행속도 유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리 것은? ① 지표면으로부터 750m를 초과하고, 평균해면으로부터 3,050m 미만의 고도에서는 지시대기속도 220노트 이하 ② C 또는 D등급 공역 내의 공항으로부터 반지름 7.4km 내의 지표면으로부터 750m의 고도까지는 지시대기속도 200노트 이하 ③ B등급 공역 중 공항별로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범위와 고도의 구역에서는 지시대기속도 200노트 이하 ④ B등급 공역을 통과하는 시계비행로에는 지시대기속도 200노트 이하지표면으로부터 750m를 초과하고, 평균해면으로부터 3,050m 미만의 고도에서는 지시대기속도 220노트 이하편대비행을 하는 경우 편대를 책임지는 항공기로부터의 분리기준은? ① 종적 및 횡적으로는 1.5km, 수직으로는 50m 이내 ② 종적 및 횡적으로는 1.5km, 수직으로는 30m 이내 ③ 종적 및 횡적으로는 1km, 수짓으로는 50m 이내 ④ 종적 및 횡적으로는 1km, 수직으로는 30m 이내종적 및 횡적으로는 1.5km, 수직으로는 50m 이내항공기가 활공기를 예항하는 경우 예항줄을 이탈시키는 고도는? ① 예항줄 길이의 60%에 상당하는 고도 이상의 고도 ② 예항줄 길이의 80%에 상당하는 고도 이상의 고도 ③ 예항줄 길이의 100%에 상당하는 고도 이상의 고도 ④ 예항줄 길이의 120%에 상당하는 고도 이상의 고도예항줄 길이의 80%에 상당하는 고도 이상의 고도항공기로 활공기를 예항하는 경우 안정성의 기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항공기에 연락원을 탑승시킬 것 ② 예항줄의 길이는 60m 내지 80m로 할 것 ③ 항공기와 활공기 간의 연락을 위해 지상연락원을 배치할 것 ④ 당해 예항줄 길이의 80%에 상당하는 고도 이상의 고도에서 에항줄을 이탈시킬 것예항줄의 길이는 60m 내지 80m로 할 것평균해면으로부터 얼마를 초과하는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계기비행을 하여야 하는가? ① 20,000ft ② 2,9000ft ③ 33,000ft ④ 41,000ft20,000ft시계방식으로 비행시 관제권 안에서 이륙 또는 착륙을 할 수 있는 지상사정과 운고는 얼마인가? ① 8km 이상, 450m 이상 ② 5km 이상, 450m 이상 ③ 5km 이상, 300m 이상 ④ 1.5km 이상, 150m 이상5km 이상, 450m 이상다음 중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계기비행방식에 따라 비행을 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평균해면으로부터 6,100m를 초과하는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② 비행시정이 5,000m 미만인 기상상태에서 비행하는 경우 ③ 천음속으로 비행하는 경우 ④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경우비행시정이 5,000m 미만인 기상상태에서 비행하는 경우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지표면 또는 수면 상공으로부터 몇 m 이상을 비행할 경우 순항고도에 따라 비행해야 하는가? ① 300m ② 600m ③ 900m ④ 1,200m900m시계비행 및 계기비행 시 최저순항고도는? ① 900m, 600m ② 300m, 900m ③ 900m, 600m ④ 300m, 1,000m900, 300m다음 중 특별시계비행의 규정에 어긋나는 것은? ① 조종사가 계기비행 자격이 없이 주야간 비행이 가능 ② 지표 또는 수면을 계속하여 볼 수 있는 상태로 비행할 것 ③ 비행시정을 1,500m 이상 유지하며 비행할 것 ④ 구름을 피하여 비행할 것조종사가 계기비행 자격이 없이 주야간 비행이 가능다음 중 특별시계비행의 기준이 아닌 것은? ① 허가받은 관제권 안을 비행할 것 ② 구름을 피하여 비행할 것 ③ 지표 또는 수면을 계속하여 볼 수 있는 상태로 비행할 것 ④ 비행시정을 1,800m 이상 유지하며 비행할 것비행시정을 1,800m 이상 유지하며 비행할 것특별시계비행시 이륙하거나 착륙을 할 때 시장시정이 보고되지 아니한 경우 허용되는 최저비행시정은? ① 1,000m ② 1,500m ③ 3,000m ④ 5,000m1,500m제1종 계기착륙시설(ILS)을 따라 비행시 결심고도(DH)보다 낮은 고도로 착륙을 위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경우 중 틀린 것은? ① 조종사가 접지구역 등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 ② 조종사가 비행장등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 ③ 조종사가 접지구역표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 ④ 조종사가 활주로시단표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조종사가 비행장등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조종사가 저근등시스템의 구성품 중 진입등(Aprroach lights)만 식별이 가능하고 붉은색 측면등(Red side row bar) 또는 붉은색 말단등(Red terminatuon bars)은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 알맞은 착륙접근법은? ① 활주로의 접지구역 표면으로부터 30m(100ft) 미만으로 강하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활주로의 접지구역 표면으로부터 15m(50ft) 미만으로 강하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표준해면 고도로부터 30m(100ft) 미만으로 강하하여서는 아니 된다. ④ 표준해면 고도로부터 15m(50ft) 미만으로 강하하여서는 아니 된다.활주로의 접지구역 표면으로부터 30m(100ft) 미만으로 강하하여서는 아니 된다.계기비행방식으로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하는 항공기의 경우, 결심고도 또는 최저강하고도보다 낮은 고도로 활주로에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① 기상상태가 해당 계기접근절차의 착륙기상최저치 이상인 경우 ② 정상적인 강하율로 착륙하기 위한 강하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 ③ 비행시정이 200m 이상일 경우 ④ 활주로 관련 시각참조물으 ㄹ확실히 보고 식별할 수 있는 경우비해이정이 200m 이상일 경우다음 중 계기비행방식으로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하는 항공기의 할주로 관련 시각참조물이 아닌 것은? ① 활주로등 ② 활주로 또는 활주로 표지 ③ 비행장등대 ④ 접지구역 또는 접지구역등비행장등대계기접근 중 활주로 관련 참조물을 확인할 수 없을 때 실패접근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최저강하고도보다 낮은 고도에서 비행중인 떄 ② 비행시정이 계기접근절차에 규정된 시정 미만일 떄 ③ 실패접근의 지점에 도달할 때 ④ 실패접근의 지점에서 활주로에 접지할 때비행시정이 계기접근절차에 규정된 시정 미만일 떄계기착륙시설(ILS)은 항공기가 착륙하는데 필요한 ( )정보, ( )정보 및 ( )정보를 신뢰성있게 제공하여야 한다. ( )에 맞는 것은? ① 방위각, 활공각, 경사거리 ② 진입각, 방위각, 거리 ③ 진입각, 방위각, 방향 ④ 방위각, 활공각, 마커위치방위각, 활공각, 마커위치제1종 정밀접든(CAT-I)시설의 구성요소는? ① 방위각제공시설(LLZ), 활공각제공시설(GP), 외측마커(O/M), 중간마커(M/M) ② 방위각제공시설(LLZ), 활공각제공시설(GP), 외측마커(O/M), 내측마커(I/M) ③ 방위각제공시설(LLZ), 활공각제공시설(GP), 중간마커(M/M), 내측마커(I/M) ④ 방위각제공시설(LLZ), 활공각제공시설(GP), 외측마커(O/M), 중간마커(M/M), 내측마커(I/M)방위각제공시설(LLZ), 활공각제공시설(GP), 외측마커(O/M), 중간마커(M/M)다음 중 외측마커(Outer Marker)와 중간마커(Middle Marker)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① 무지향표지시설(NDB) ② 전방향표지시설(VOR) ③ 거리측정시설(DME) ④ 전술항행표지시설(TACAN)무지향표지시설(NDB)Category II 릐 결심고도(DH) 및 활주로가시범위(RVR)는? ① 30m 이상 60m 미만, RVR 300m 이상 550m 미만 ② 30m 이상 60m 미만, RVR 175m 이상 300m 미만 ③ 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RVR 175m 이상 300m 미만 ④ 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RVR 50m 이상 175m 미만30m 이상 60m 미만, RVR 300m 이상 550m 미만3A종(Category II-A)정밀접근 계기착륙시설의 결심고도는? ① 30m 이상 60m 미만 ② 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③ 15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④ 적용하지 아니함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정밀접근시설의 활주로가시범위(RVR)로 틀린 것은? ① CAT I 의 경우 550m 이상 ② CAT II 의 경우 300m 이상 ③ CAT IIIa 의 경우 175m 이상 300m 미만 ④ CAT IIIb의 경우 100m 이상 200m 미만CAT IIIb의 경우 100m 이상 200m 미만비행계획의 제출방법으로 맞는 것은? ① 서류만으로 제출한다. ② 서류 또는 전문으로 제출한다. ③ 전화, 서류, 전문, 모사전송(팩스), 또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출한다. ④ 구슬, 전화, 서류, 전문, 모사전송(팩스) 또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출한다.구술, 전화, 서류, 전문, 모사전송(팩스) 또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출한다.비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항공기 식별부호 ② 탑재장비 ③ 무게로 표시한 연료 탑재량 ④ 탑승 총 인원무게로 표시한 연료 탑재량반복비행계획서를 제외하고 비행정보구역 안에서 비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출해야 하는 비행계획에 포함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파운드 표시 연료 탑재량 ② 비행의 방식 및 종류 ③ 비상무선 주파수 및 구조장비 ④ 기장의 성명파운드 표시 연료 탑재량다음 중 비행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탑재장비 ② 항공기 식별부호 ③ 탑승객 명단 ④ 비상 무선주파수 및 구조장비탑승객 명단계기비행방식에 따라 비행하려는 경우에 지정해야 하는 교체비행장은? ① 이륙교체비행장 ② 항공로교체비행장 ③ 목적지교체비행장 ④ 접근교체비행장목적지교체비행장쌍발항공기의 경우 이륙교체비행장은 1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아니할 때의 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몇 시간 비행거리 이내의 지역에 있어야 하는가? ① 1시간 이내 ② 2시간 이내 ③ 3시간 이내 ④ 4시간 이내1시간 이내출발비행장의 기상상태가 비행장 운영 최저치 이하이거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출발비행장으로 되돌아 올 수 없는 경우 설정하는 교체비행장은? ① 이륙교체비행장 ② 항공로교체비행장 ③ 목적지교체비행장 ④ 근접교체비행장이륙교체비행장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를 운항하려는 경우 교체비행자잉 필요한 경우가 아닌 것은? ① 쌍발비행기로서 1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아니할 때의 순항속도로 가장 가까운 공항까지 비행하여 착륙할 수 있는 시간이 1시간을 초과하는 지점이 있는 노선을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② 출발비행장의 기상상태가 비행장 운영 최저치 이하이거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출발비행장으로 되돌아 올 수 없는 경우 ③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이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적합한 목적지교체비행장이 없는 경우 ④ 계기비행방식에 따라 비행하려는 경우최초 착륙예정 비행장이 외딴 지역에 위치하고 적합한 목적지교체비행장이 없는 경우1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아니하는 B747 항공기가 기상상태가 목적지공항은 CAVOK이며 이륙공항은 최저착륙지 미만인 경우 교체비행장 지정으로 맞는 것은? ① 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1시간 거리 이내의 이륙교체비행장 ② 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1시간 거리 이내의 항공로교체비행장 ③ 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2시간 거리 이내의 이륙교체비행장 ④ 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2시간 거리 이내의 목적지교체비행장순항속도로 출발비행장으로부터 2시간 거리 이내의 이륙교체비행장목적지교체비행장 지정이 요구될 시 교체비행장으로 적합한 경우는? ① 도착 예정시간 1시간 전부터 1시간 후까지 공항의 운영 최저치 이상의 기상일 것 ② 이륙 얘정시간 1시간 전부터 1시간 후까지 공항의 운영 최저치 이상의 기상일 것 ③ 도착 예정시간에 공항의 운영 최저치 이상의 기상일 것 ④ 이륙 예정시간에 공항의 운영 최저치 이상의 기상일 것도착 예정시간에 공항의 운영 최저치 이상의 기상일 것항공기가 도착비행장에 착륙하는 즉시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에 보고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출발비행장 ② 도착비행장 ③ 이륙시간 ④ 항공기의 식별부호이륙시간시계비행기상상태에서 통신이 두절된 항공기의 비행절차로 맞는 것은? ① 목적지 비행장까지 교신없이 비행을 계속하여 착륙한 후 지체 없이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한다. ② 즉시 회항하여 이륙공항까지 비행한 후 착륙하여 지체 없이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한다. ③ 즉시 착륙등을 켜서 통신두절을 알리고 걔속 비행하여 착륙한 후 지체 없이 공공교통간제기관에 통보한다. ④ 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을 계속하여 가장 가까운 착륙 가능한 비행장에 착륙한 후 지체 없이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한다.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을 계속하여 가장 가까운 착륙 가능한 비행장에 착륙한 후 지체없이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한다.레이더가 운용되고 필수 위치통지점에서 위치보고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통신두절시, 가장 늦은 시간으로부터 해당 관제기관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지시받은 속도를 얼마간 유지한 후 비행계획에 명시된 고도와 속도로 변경하여 비행하여야 하는가? ① 5분 ② 7분 ③ 20분 ④ 30분7분( ) 들어갈 적당한 말은? 계기비행기상상태에서 통신 두절시 착륙은 가능한 접근예정시간과 도착예정시간 중 ( )에 착륙하여야 한다. ① 더 빠른 시간으로부터 30분 이후 ② 더 빠른 시간으로부터 30분 이내 ③ 더 늦은 시간으로부터 30분 이후 ④ 더 늦은 시간으로부터 30분 이내더 늗은 시간으로부터 30ㅂㄴ 이내관제비행을 하는 항공기가 항공교통업무기관에 보고하여야 하는 위치통지점(FIX)은 누가 정하여 고시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항공교통본부장 ③ 항굥교통관제기관의 장 ④ 지방항공청장국토교통부장관관제비행을 하는 항공기가 위치통지점에서 위치보고시 보고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의 식별부호 ② 해당 위치통지점의 통과시각 ③ 해당 위치통지점의 고도 ④ 해당 위치통지점에서의 항공기 속도해당위치통지점에서의 항공기 속도요격시 WILCO의 의미는? ① Undertood will comply ② Unable to comply ③ Position unknown ④ Repeat your instructuonUnderstood will comply요격시 '당신은 요격을 당하고 있으니 나를 따라오라'는 요격항공기의 신호에 '알았다. 지시를 따르겠다'라는 피요격항공기의 응신으로 맞는 것은? ① 날개를 흔들고, 항행등을 불규칙적으로 점멸시킨 후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 ② 바퀴다리를 내리고, 고정착륙등을 킨 상태로 요격 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 ③ 항공기의 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이고,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 ④ 날개를 흔들고,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날개를 흔들고, 항행등을 불규칙적으로 점멸시킨 후 요격항공기의 뒤를 따라간다.관제탑과 항공기와의 무선통신이 두절된 경우 지상에 있는 항공기에게 보내는 녹색 점멸등의 의미는? ① 이륙을 허가함 ② 지상활주를 허가함 ③ 비행장 안의 출발지점으로 돌아갈 것 ④ 사용 중인 착륙지역으로부터 벗어날 것지상활주를 허가함무선통신이 두절된 상태에서 비행 중 관제탑으로부터 연속 녹색신호를 받았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① 착륙을 취소하라 ② 선회하며 대기하라 ③ 착륙하라 ④ 진로를 양보하라착륙하라지상운용 중인 항공기에 대한 깜빡이는 흰색빛총신호의 의미는? ① 진로를 양보하고 계속 선회하라 ② 사용중인 착륙지역으로부터 벗어나라 ③ 출발지점으로 돌아가라 ④ 착륙하여 계류장으로 가라출발지점으로 돌아가라관제탑과 항공기간의 무선통신이 두절된 경우 빛총신호의 종류와 그 의미가 잘못된 것은? ① 비행중인 항공기에 보내는 연속되는 녹색 신호-착륙을 허가함 ② 비행중인 항공기에 보내는 연속되는 붉은색 신호-착륙하지 말 것 ③ 지상에 있는 항공기에 보내는 연속되는 녹색 신호-이륙을 허가함 ④ 지상에 있는 항공기에 보내는 연속되는 붉은색 신호-정지할 것비행중인 항공기에 보내는 연속되는 붉은색 신호-착륙하지 말 것지상 활주중인 항공기가 관제탑에서 연속 적색신호를 받았다. 이것을 본 직후에 취해야 할 행동은? ① 정지한다. ② 즉시 이륙한다. ③ 착륙지역에서 벗어난다. ④ 이륙을 준비한다.정지한다.관제탑과 항공기와의 무선통신이 두절된 경우 관제탑에서 비행중인 항공기에 보내는 깜빡이는 백색신호의 의미는? ① 착륙하지 말 것 ② 진로를 양보하거 계속 선회할 것 ③ 착륙을 준비할 것 ④ 착륙하여 계류장으로 갈 것착륙하여 계류장으로 갈 것관제탑과 무선통신이 두절된 항공기의 조종사가 비행중에 빛총신호를 수신한 경우 응신 요령이 아닌 것은? ① 주간에는 날개를 흔든다. ② 주간에는 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인다. ③ 야간에는 착륙등 2회를 점멸한다. ④ 야간에 착륙등이 장착되지 않는 경우 항행등을 2회 점멸한다.주간에는 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인다.무선두절시 과나제탑의 빛총신호에 대한 항공기의 비행 중 응답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날개를 흔든다. ② 방향타와 보조익을 흔든다. ③ 착륙등을 2회 점멸한다. ④ 착륙등이 없는 경우 항행등을 2회 점멸한다.방향타와 보조익을 흔든다.다음 중 곡예비행이 아닌 것은? ① 급강하 또는 급상승비행 ② 항공기를 옆으로 세워서 하는 비행 ③ 교육훈련 등의 목적으로 정상범위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비행 ④ 항공기를 뒤집어서 하는 비행교육훈련 등의 목적으로 정상범위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비행다음 중 곡예비행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항공기를 뒤집어서 하는 비행 ② 항공기를 옆으로 세우거나 회전시키며 하는 비행 ③ 항공기를 나선형으로 강하시키는 비행 ④ 항공기의 경사각이 60°를 초과하는 비행항공기의 경사각이 60°를 초과하는 비행다음 중 곡예비행 금지구역이 아닌 것은? ① 관제구 및 관제권 ②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하여 있는 지역의 상공 ③ 지표로부터 450m 미만의 고도 ④ 해당 항공기를 중심으로 하여 반지름 60m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 상단으로부터 600m 이하의 고도해당 항공기를 중심으로 하여 반지름 600m 범위 안의 지역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 상단으로부터 600m 이하의 고도다음 중 곡예비행 금지구역이 아닌 것은? ① 관제구 및 관제권 ② 지표로부터 1,500m 미만의 고도 ③ 당해 항공기를 중심으로 반지름 500m 범위 안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상단으로부터 500m 이하의 고도 ④ 사람 또는 건축물이 밀집하여 있는 지역의 상공지표로부터 1,500m 미만의 고도다음 중 곡예비행이 가능한 비행시정으로 맞는 것은? ① 비행고도 3,050m 이상에서는 10,000m 이상 ② 비행고도 3,050m 미만에서는 5,000m 이상 ③ 모든 비행고도에서 8,000m 이상 ④ 모든 비행고도에서 10,000m 이상비행고도 20,50m 미만에서는 5,000m 이상비행고도 3,050m(10,000ft) 미만의 구역에서 곡예비행을 할 수 있는 비행시정은? ① 5,000m 이상 ② 6,000m 이상 ③ 7,000m 이상 ④ 8,000m 이상5,000m 이상비행고도 10,000ft 이상 곡옙행시 요구되는 최소 비행시정은? ① 3,000m ② 5,000m ③ 7,000m ④ 8,000m8,000m긴급항공기 지정 취소처분을 받은 자는 취소처분을 받은 날부터 얼마 이내에는 긴급항공기의 지정을 받을 수 없는가? ① 6개월 ② 1년 ③ 2년 ④ 3년2년다음 중 긴급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운항하는 항공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재난, 재해 등으로 인한 수색, 구조 ② 응급환자의 후송 ③ 화재의 진화 ④ 긴급 구호물자의 수송화재의 진화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긴급한 업무"에서 사용하는 항공기가 아닌 것은? ① 자연재해시의 긴급복구 ② VIP 수송 ③ 구조, 구급활동 ④ 응급환자를 위한 장기 이송VIP 수송최저비행고도 아래에서 비행하기 위한 비행허가 신청서와 긴급항공기를 운영하기 위한 긴급항공기 지정신청서는 누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항공교통부장관 ③ 지방항공청장 ④ 관할 행정 자치단체장지방항공청장수색, 구조 후 긴급항공기 운항결과보고서는 운항종료 후 몇 시간 이내에 제출해야 하는가? ① 즉시 ② 1시간 ③ 15시간 ④ 24시간24시간항공기를 이용하여 폭발성 또는 연소성이 높은 물건 등을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① 국토교통부장관 ② 공항관리기관 ③ 지방항공청장 ④ 기장국토교통부장관항공기에 의하여 운송하고자 하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품목이 아닌 것은? ① 가연성 물질류 ② 2급 비밀문서 ③ 인화성 액체 ④ 산화성 물질류2급 비밀문서다음 중 전자기기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항공기는? ① 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중인 항공기 ② 계기방식으로 비행중인 항공기 ③ 응급환자를 후송중인 항공기 ④ 화재진압 임뭊ㅇ인 항공기계기방식으로 비행중인 항공기운항 중에 사용이 제한되는 전자기기는? ① 휴대용 음성녹음기 ② 보청기 ③ 전기 면도기 ④ 개인 휴대전화기개인 휴대전화기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없이 RVSM 공역을 운항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운항승인을 받은 항공기에 고장이 발생하여 정비를 위한 장소까지 운항하는 경우 ② 우리나라에 신규로 도입하는 항공기를 운항하는 경우 ③ 제작, 정비, 수리 또는 개조 후 시험비행을 하는 경우 ④ 항공기의 사고, 재난이나 그 밖의 사고로 인하여 사람 등의 수색, 구조 등을 위하여 운항하는 경우제작, 정비, 수리 또는 개조 후 시험비행을 하는 경우다음 중 항공교통업무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 간의 충돌방지 ② 항공기와 장애물 간의 충돌방지 ③ 항공교통의 질성지 및 촉진 ④ 전파에 의한 항공기 항행의 지원전파에 의한 항공기 항행의 지원다음 중 항공교통업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항공교통관제업무 ② 요격관제업무 ③ 비행정보업무 ④ 경보업무요격관제업무다음 중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아닌 것은? ① 비행장관제업무 ② 착류유도관제업무 ③ 접근관제업무 ④ 지역관제업무착륙유도관제업무항공교통업무의 종류로 맞는 것은? ① 비행정보업무, 비행장관제업무, 지역관제업무 ② 비행정보업무, 접근관제업무, 비행장관제업무 ③ 항공교통관제업무, 항공정보업무, 긴급업무 ④ 항공교통관제업무, 비행정보업무, 경보업무항공교통관제업무, 비행정보업무, 경보업무다음 중 항굥교통관제업무가 아닌 것은? ① 착륙유도관제업무 ② 비행장관제업무 ③ 지역관제업무 ④ 접근관제업무착륙유도관제업무다음 중 항공교통관제업무로 구분되지 않는 것은? ① 비행장관제업무 ② 계류장관제업무 ③ 접근관제업무 ④ 지역관제업무계유장관제업무수색, 구조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에 대한 관계기관에의 정보제공 및 협조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항공교통업무는? ① 항공교통관제업무 ② 지역관제업무 ③ 비행정보업무 ④ 경보업무경보업무관제공역 안에서 이륙이나 착륙으로 연결되는 관제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제공하는 항공교통관제업무는? ① 착륙유도관제업무 ② 비행관제업무 ③ 접근관제업무 ④ 지역관제업무접근관제업무관제사로서 항공교통관제업무의 한정을 받은자가 해당관제기가에서 얼마 이상 종사하지 않았을 경우 한정의 효력이 정지되는가? ① 90일 ② 180일 ③ 270일 ④ 12개월180일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시게비행방식의 비행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 항공교통업무기관에서 제공하는 비행정보는? ① 항행안전시설의 운영변경에 관한 정보 ② 해당 비행경로 주변의 교통정보 빛 기상상태에 관한 정보 ③ 비행장시설의 변경에 관한 사항 ④ 이동지역 내의 눈, 결빙, 침수에 관한 정보해당 비행경로 주변의 교통정보 및 기상상태에 관한 정보항공교통업무기관이 항공기에 제공하는 비행정보가 아닌 것은? ① 정시관측 및 특별관측 항공기상정보 ② 출발, 목적, 교체비행장의 기상상태 및 예보 ③ C, D, E, F 및 G 등급 공역 내에서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한 충돌위험 ④ 수면을 항행 중인 선박의 호출부호, 위치, 진행방향, 속도 등에 관한 정보정시관측 및 특별관측 항공기상정보다음 중 비상상황의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주의상황 ② 조난상황 ③ 경보상황 ④ 불확실상황주의사항착륙허가를 받고도 착륙 예정시간으로부터 5분 이내에 착륙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그 항공기와 무전교신이 되지 아니할 경우의 비상상황은? ① 불확실상황 ② 경계상황 ③ 경보상황 ④ 조난상황경보상황항공기로부터 연락이 있어야 할 시간으로부터 30분 이내에 연락이 없을 경우의 상황은? ① 불확실상황 ② 주의상황 ③ 경보상황 ④ 조난상황불확실상황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승무원에게 제공하는 항공정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비행의 방법, 결심고도, 최저강하고도 등의 설정과 변경에 관한 사항 ② 항공교통업무에 관한 사항 ③ 비행장을 입출항할 수 있는 조종사의 자격에 관한 사항 ④ 비행장과 항행안전시설의 중요한 변경 및 운용에 관한 사항비행장을 입출항할 수 있는 조종사의 자격에 관한 사항항공기승무원에게 제공하는 항공정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500m 이상 높이의 공역에서 하는 무인기구의 계류, 부양 ② 항공로 안의 150m 이상 높이의 공역에서 로켓, 불꽃, 레이저광선, 기타 물건의 발사 ③ 항공교통업무에 관한 사항 ④ 비행장 이용에 있어서 항공기의 운항상 장애가 되는 사항500m 이상 높이의 공역에서 하는 무인기구의 계류, 부양항공정보에 사용되는 측정단위로 틀린 것은? ① 고도 : 미터(m) 또는 피트(ft) ② 시정 : 킬로미터(km) 또는 마일(SM). 이 경우 3km 미만의 시정은 미터(m) 단위를 사용 ③ 온도 : 섭씨도(°C) ④ 속도 : 초당 미터(m/s)시정 : 킬로미터(km) 또는 마일(SM). 이 경우 3km 미만의 시정은 미터(m) 단위를 사용다음 중 항행의 안전을 위해 기장과 기장 외의 조종사를 탑승시켜야 하는 경우는? ① 구조상 조종사 단독으로는 발동기와 기체의 취급을 할 수 없는 항공기 ② 항공기의 운항을 위하여 2명 이상의 조종사가 필요한 항공기 ③ 무착륙으로 550km 이상의 구간을 비행하는 항공기 ④ 최대이륙중량 35,000kg 이상의 항공기항공기의 운항을 위하여 2명 이상의 조종사가 필요한 항공기다음 중 조종사 외에 항공기관사를 탑승시켜야 할 항공기는? ① 4기 이상의 발동기를 가지고, 최대이륙중량이 35,000kg 이상인 항공기 ② 착륙하지 아니하고 550km 이상의 구간을 비행하는 항공기 ③ 구조상 조종사 단독으로는 발동기 및 기체를 완전히 취급할 수 없는 항공기 ④ 여객운송에 사용되는 항공기착륙하지 아니하고 550km 이상의 구간을 비행하는 항공기착륙하지 않고 550km 이사으이 구간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기장 외에 탑승시켜야 할 항공종사자는? ① 부조종사 ② 항공기관사 ③ 운항관리사 ④ 항공사항공사항공기에 탑승시켜야 할 항공종사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착륙하지 아니하고 550km 이상읙 ㅜ간을 비행하는 항공기-항공사 ② 구조상 조종사 단독으로 발동기 및 기체를 완전히 취급할 수 없는 항공기-항공기관사 ③ 항공안전법 제51조의 규정에 의하여 무선설비를 장비하고 비행하는 항공기-무선종사자 기술자격증을 가진 조종사 ④ 여객운송에 사용되는 항공기-운항관리사여객운송에 사용되는 항공기-운항관리사여객운송에 사용되는 항공기로 승객을 운송하는 경우, 장착좌석수가 101석 이상 150석 이하일 때 항공종사자 외에 객실에 탑승시켜야 할 객실승무원 수는?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4명장착좌석수가 280석인 여객운송에 사용되는 비행기에 탑승시켜야 할 객실승무원 수는? ① 4명 ② 5명 ③ 6명 ④ 7명6명운항승무원의 경우 자격증명서와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소지기준은? ① 항송 지니어야 한다. ② 지니거나 항공기 내의 접근하기 쉬운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③ 지니거나 항공업무를 수행하는 장소의 접근하기 쉬운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④ 항공업무를 수행하는 장소의 접근하기 쉬운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지니거나 항공기 내의 접근하기 쉬운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운항기술기준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항공기 운항 ② 항공종사자의 훈련 ③ 항공기 계기 및 장비 ④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항공종사자의 훈련다음 중 운항기술기준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정비조직인증기준 ② 자격증명 ③ 정비방법 및 절차 ④ 항공기 계기 및 장비정비방법 및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