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고대)

Term
1 / 42
사신도, 고구려
Click the card to flip 👆
Terms in this set (42)
경주 분황사 석탑, 신라황룡사 9층 목탑, 선덕여왕, 자장, 고려때 몽골에 의해 X신라, 임신서기석석굴암 보존불, 신라경주 불국사 3층 석탑, 석가탑, 무영탑이라고도 불림, 무구정광대다나리경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존 세계 최고 목판 인쇄물경주 불국사 다보탑. 석가모니가 법화경을 설파할 때 보탑이 솟아올라 석가모니의 말이 진리임을 증명하였다고 하는 설화가 있음. 그 내용을 담아 불국사에는 현세불인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석가탑과 다보여래를 상징하는 다보탑이 나란히 있음.경주 감은사지 3층 석탑, 신문왕(문무왕 기림)화순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통일신라 말기, 선종과 연관발해 석등발해 영광탑발해 영광탑가야 철제갑옷이불병좌상, 발해가 고구려의 문화를 계승한 증거를 보여주는 불상.가야 금동관칠지도, 근초고왕호우명 그릇은 경주 호우총에서 발굴된 청동 그릇으로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입니다.신라, 천마도돌사자상, 발해 정혜공주묘 출토고구려 불탑없음무령왕릉 출토불국사첨성대7C선덕여왕 오래된천문대상원사 동종통일신라, 725, 성덕왕, 현존 최고성덕대왕 신종경덕왕이 아버지 성덕왕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서 혜공왕때 완성, 현존 가장 큰 종, 에밀레종안압지통일신라(문무왕)고구려 장군총, 백제 석촌동 고분돌무지무덤모줄임천장고구려 굴식 돌방 무덤에서 보이는 양식.무령왕릉백제의 대표적 벽돌무덤. 송산리 6호분 배수로 공사 과정에서 발견. 많은 껴묻거리와 주인을 알 수 있는 묘지석이 발견. 백제 고분 중 매장된 사람과 축조 연대가 확인되는 유일한 무덤.9산 선문선종돌무지 무덤입구, 벽화, 도굴 모두 가능돌무지 덧널 무덤신라, 입구X, 벽화X, 도굴X김유신 묘굴식 돌방 무덤으로 변화 (통신때), 12지 신상(호석)

Flickr Creative Commons Images

Some images used in this set are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through Flickr.com.
Click to see the original works with their full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