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송광사를 중심으로 수선 결사 운동 주도,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혜심유불일치설요세백련결사운동, 법화사상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안동 이천동 마애 여래 입상파주 용미리 마애 이불 입상여주 고달사지 승탑고려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 승탑고려주심포 양식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안동 봉정사 극락전고려전기형식사원/주심포양식/배흘림기둥
현존 중에 최고13c(고려후기)건축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고려전기사원/주심포양식/배흘림기둥, 영주 부석사 소조 여래 좌상황해도 성불사 응진전다포 양식사천대고려시대 천문과 역법 담당 관청향약구급방최우, 현존 우리나라 최고 의학사경천사지 10층 석탑개경, 고려 후기 (원)순청자상감청자고려사김종서, 정인지(세종~문종), 기전체, 사마천 사기고려사절요김종서, 정인지(문종), 편년체실록편년체, 춘추관, 세계 기록 유산동국통감성종 서거정, 통사, 삼국기, 신라기, 고려기, 외기, 편년체, 고조선~고려말, 자치통감삼강행실도세종간경도감세조 (불교)석보상절수양대군4부학당조선의 중앙 중등교육이이동호문답, 성학집요, 격몽요결, 기자실기이황주자서절요, 성학집도승정원일기편년체, 유네스코 등재국조오례의성종동국여지승람성종, 노사신, 양성지해동제국기성종, 신숙주, 일본악학궤범성종주자소, 계미자태종갑인자세종용비어천가세종, 최초 한글 서적장영실측우기, 자격루, 앙부일구칠정산이순지, 한양 중심 역법서원각사지 10층 석탑조선 세조분청사기회색 또는 회흑색 태토위에 백토니를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로 고려시대 말기에 만들어졌다.백자순백색의 바탕흙 위에 투명한 유약을 씌워서 번조한 자기로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가 만들어졌으며, 그 수법은 계속 이어져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루었다.종묘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1. 조선의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조선 시대의 유교 사당사직단경복궁 서쪽에는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000이 세워졌다.고사관수도강희안몽유도원도안견초충도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동문선서거정 / 성종 (문학)금오신화김시습, 최초 한문소설세한도김정희동국지도정상기(영조), 최초로 100리척대동여지도목판, 지도첩, 22첩,금석과안록김정희-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힘동사이종휘, 고구려역사유득공발해고, 서얼, 남북국연려실기술이긍익, 조선역사아방강역고정약용- 역사 지리서택리지이중환지봉유설이수광- 문화 인식의 폭을 확대
-> 백과사전류(유서)의 효시성호사설이익임원경제지서유구 - 농촌 생활 백과사전(19세기)동국문헌비고영,정조 국학 백과사전훈민정음운해조선후기, 신경준, 영조임하경륜조선 중상학파 (담헌)홍대용의 저서
균전제 주장의산문답홍대용, 중국중심 세계관 비판혼천의홍대용가례집람김장생윤휴독서기박세당색경. 사변록정제두조선 18c초 강화학파담헌서홍대용을병연행록홍대용양반전, 허생전, 호질박지원열하일기박지원북학의박제가언문지유희, 언어책, 조선후기곤여만국전도조선 후기 지도
세계지도, 서구중식, 과학적이고 정밀 → 세계관 확대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태종동의수세보원19세기에 이제마가 사람의 체질을 네가지로 나누어 정리한 책진경 산수화 (겸재 정선)인왕제색도, 금강전도인왕제색도정선금강전도정선영통동구도강세황무동단원 김홍도월하정인혜원 신윤복파적도김득신타작김홍도서당김홍도단오풍정신윤복청화백자회화청 또는 토청 등의 코발트 안료를 사용구례 화엄사 각황전조선 후기김제 금산사 미륵전조선 후기보은 법주사 팔상전조선후기, 조선시대 가장 오래된 목탑논산 쌍계사18세기부안 개암사18세기